“반도체 봄 진짜 왔다”...삼성전자 1분기 영업익 10배 뛴 6조6천억

영업익 6조6000억 ‘깜짝 실적’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보다 많아
분기 매출은 70조원대로 회복
[사진출처 =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주력인 메모리 반도체의 업황 회복 등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6조6000억원으로 전년동기(6400억원) 대비 931.2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5일 공시했다.


이는 삼성전자의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6조5700억원)도 뛰어넘은 규모다.


매출은 71조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37% 증가했다.


삼성전자의 분기 매출이 70조원대를 회복한 것은 2022년 4분기(70조4646억원) 이후 5분기 만이다.


시장에서는 올해 초만 하더라도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4조원대 중후반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메모리 감산 효과에 따른 가격 상승 등의 흐름이 이어지자 최근 실적 눈높이를 일제히 상향 조정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삼성 HBM3E에 남긴 사인[사진출처 = 한진만 삼성전자 부사장 SNS]
이날 부문별 실적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증권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7000억∼1조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2022년 4분기(2700억원) 이후 5분기 만에 흑자 전환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메모리 반도체인 D램과 낸드플래시의 가격은 상승하고 인공지능(AI) 시장에서 반도체 수요는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앞서 삼성전자 정기 주주총회에서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장은 직접 “반도체는 1월부터 흑자기조로 돌아섰고, 궤도에 올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1분기 모바일 사업 역시 AI가 탑재된 갤럭시 S24 판매 호조 등 스마트폰 출하가 늘며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한편 대만 강진으로 인해 세계 1위 파운드리 업체인 TSMC가 생산 차질을 빚으면서 경쟁구도에 있는 삼성전자가 누릴 향후 반사이익에도 관심이 쏠린다.

일각에서는 TSMC가 지진 여파로 인해 일부 반도체 칩 생산 타격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MWC 2024 삼성전자 전시관 현장. [사진출처 = 연합뉴스]
지난해 4분기 영업손실 500억원을 냈던 영상디스플레이(VD)와 생활가전(DA)사업부의 경우 프리미엄 TV와 고부가 가전 확대 판매 등에 힘입어 수익성이 소폭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의 실적 개선세는 메모리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며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1분기 D램 ASP는 전 분기 대비 최대 20% 상승한 데 이어 2분기에는 3∼8% 오를 전망이다.

낸드도 1분기 23∼28% 오른 데 이어 2분기에는 13∼18% 오를 것이란 예상이다.


삼성전자는 그 동안 SK하이닉스 등에 밀렸던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공략에 적극 뛰어들었다.


올해 HBM 출하량의 경우 지난해 대비 최대 2.9배로 늘릴 계획이며 올 하반기에는 AMD뿐 아니라 엔비디아에도 HBM 제품을 납품할 예정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