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10일 미국시장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이 승인됐습니다.
오랜 진통 끝에 상장한만큼, 거래가 시작되자마자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는데요.
하지만 한국에서는 금융당국이 곧바로 제동을 걸면서 첫걸음도 떼지 못할 위기에 놓였습니다.
한달여가 지난 지금 논의는 어디까지 진행됐을까요.
이정호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 기자 】
지난달 미국증시에 상장한 비트코인 현물 ETF는 일일평균거래량 13억 5천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성공적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금융위원회가 비트코인 현물 ETF의 상장과 중개판매 모두 불허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제대로 된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 자본시장법상 비트코인이 기초자산에 포함되지 않아, 현물 ETF를 허용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증권업계와 투자자는 즉각 반발했습니다.

"기존 선물 ETF 거래는 허용됐는데 현물 ETF만 막아서는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않다"면서, "트렌드에서 뒤처지면 한국 가상자산시장의 글로벌 경쟁력도 떨어질 것"이라 경고했습니다.

이처럼 논란이 커지자 대통령실은 "특정한 방향성을 갖고 검토하지 말 것"을 금융당국에 요구했고,

오늘(5일) 이복현 금감원장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게리 갠슬러 위원장과 만나 비트코인 현물 ETF에 관해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금융당국이 이처럼 신중한 태도를 취하는 것은 법리적 이유보다도 '보이지 않는 위협'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 인터뷰 : 홍기훈 /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자본시장내에서 코인시장의 위치가 미국과 한국은 매우 다릅니다. 금융위 입장에서 보면,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했던 스포츠도박 펀드를 만드는 것처럼 느껴지는 거죠. 이걸 열어줬다가, 우리 자본시장 내에 우리가 아직까지 마주하지 못한 변동성을 맞닥뜨릴수 있는데, '그때 사고가 발생하면 어떡할 것이냐'에 대한 문제가 걸려있는 것입니다."

기존에도 고위험 투자자산이 자본시장내에 흔했던 미국과 달리, 한국에서 가상자산 투자는 보기 드물었던 투자성향이라는 것입니다.

때문에 금융위에서는 이를 투기적 성격이 짙은 자금으로 해석하고, 시장혼란을 일으킬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해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미국, 캐나다, 독일 등 선진 자본시장에서 문제없이 승인된만큼, 우리 금융당국도
충분한 이해가 바탕이되면 전향적인 태도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매일경제TV 이정호입니다. [ lee.jeongho@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