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5박7일 일정으로 영국, 미국, 캐나다를 방문하기 위해 18일 오전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영국과 미국, 캐나다 3개국 순방을 위해 오늘(18일) 오전 서울공항을 통해 출국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영국 런던을 시작으로 5박 7일간 미국 뉴욕과 캐나다 토론토·오타와를 방문할 예정입니다.

19일(현지시간)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장례식에 참석하고 미국 뉴욕으로 이동해 20일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합니다.

이 자리에서 한미·한일정상회담도 추진됩니다.

이어 23일 캐나다 오타와에서 쥐스탱 트뤼도 총리와 한-캐나다 정상회담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앞서 대통령실은 이번 순방의 초점을 '자유민주주의 가치 연대의 강화'에 맞추었다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당초 미국으로 직행하려던 계획을 조정하여 런던을 순방 첫 목적지로 잡은 것은 이 같은 측면을 고려한 선택으로 해석됩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자유주의 진영에서 구심점 역할을 해온 역사적 상징성을 고려했다"며 장례식에서 서방 주요국 정상들과 자연스레 조우함으로써 국제사회와의 연대를 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미국에서 열리는 유엔 총회에서는 윤 대통령의 연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총회 첫날인 20일(현지시간) 185개국 정상 중 10번째로 연단에 올라 향후 국제현안 해결에서의 한국의 실질적 기여의지를 피력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윤 정부의 북핵 해법 '담대한 구상'을 제시하여 국제사회의 공감대를 이끌어 내는데 힘쓸 전망입니다.

유엔총회에서 윤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을 비롯해 각국 정상들과 다각도로 접촉할 예정입니다.

특히 한미정상회담에서는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대한 후속 조치가 논의될 것으로 보여 '한국산 전기차 보조금 지급대상 제외'를 비롯한 이슈들이 구체적으로 오고 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15일 대통령실이 '한일정상회담을 하기로 합의했고 세부일정을 조율중"이라고 발표한 것에 대해 일본 외무성이 오늘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한일정상회담의 성사 여부는 아직까지 불투명합니다.

이어 오타와에서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양자회담을 갖고 경제안보를 위한 공조 방안을 논의하며 순방 일정을 마무리합니다.

대통령 취임이후 이루어진 이번 첫 해외순방에는 지난 나토 정상회의때와 마찬가지로 김건희여사가 동행합니다.

[ 이정호 기자 / lee.jeongho@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