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요 선진국들의 제약·바이오산업 정책 기조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기존 규제 일변도 기조에서 바이오 산업 분야 육성을 위한 정책을 앞다퉈 내놓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바이오 부문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국가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 미국, 바이오 보안법 통과
미국 하원이 '바이오 보안법(Bio secure Act)'을 통과시킨 가운데 중국 공급망을 대체할 기회를 가진 한국의 바이오 기업에 반사이익을 가져다줄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지난 9월 미국 하원 상임위원회는 생물보안법, 일명 바이오 보안법을 찬성 306표, 반대 81표로 통과시켰습니다.
바이오 보안법은 미 정부 지원금을 받는 기업이 적대적 외국 기업의 장비와 서비스를 구매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이 골자입니다.
특히, 이 법안에는 '우시바이오로직스', '우시앱텍' 등 중국 핵심 바이오 기업 5곳이 포함돼 중국을 직접적으로 제재하는 목적으로 제정된 것이 아니냐는 논란도 일었습니다.
반면, 국내 바이오 업계에서는 향후 생물보안법 통과 임박에 따른 반사이익을 얻게 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 기업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과 설비를 갖춘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들의 수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것.
실제로 바이오 기업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가 '미국 생물보안법 대응 TFT'를 신설하는 등 이 법안에 대응하려는 국내 CDMO 기업들의 움직임이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EU, 바이오 기술·제조 이니셔티브 발표
EU의 바이오 규제 변화로 국가 간 협력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EU는 지난 3월 EU 바이오 기술 및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Commission takes action to boost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 in the EU, European commission)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계획은 EU 내 바이오 관련 기술 출시 기간 단축을 위한 규제 간소화, 생성형 AI 활용 확대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업계는 이번 계획이 바이오산업에서 EU가 직면한 현 과제를 해결하고 바이오테크놀로지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이에 더해 EU는 올해 말까지 미국, 인도, 일본, 한국 등 4개국과의 '국제 바이오 기술 및 바이오 제조 파트너십'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관계자는 "EU가 추친하고 있는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이들 국가들과 한국 간의 상호 협력 방안이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 인도, BioE3 정책 발표
인도는 저렴한 생산비와 강력한 제조 능력, 국가적 차원의 전략적 투자 지원을 바탕으로 한국의 강력한 경쟁국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인도는 미국에 제네릭 의약품의 약 40%, 전 세계 백신의 약 70%를 공급하는 등 세계 3위의 바이오 강대국입니다.
인도 정부도 인도의 바이오 기술 부문은 내년까지 1천500억 달러, 2030년에는 3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인도는 지난 9월 고성능 바이오 제조업 육성을 목표로 하는 'BioE3 정책(BioE3 policy)'을 발표하는 등 바이오테크놀로지 부문을 국가 경제의 핵심 축으로 삼고 앞으로도 바이오 산업에 투자를 지속할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지난 8월 '인도의 의약품 CDMO 투자 및 산업 동향' 보고서를 통해 "바이오 분야에서 인도의 잠재력은 앞으로도 계속 커질 전망"이라며 "한국의 강력한 경쟁국으로서 인도 CDMO의 성장세를 눈여겨봐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이기연 연구원 / lee.giyeon@mktv.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