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에만 시중은행 금융사고 21건…"금융당국, 대책 마련해야"

올해 상반기에만 시중은행 직원들의 횡령·서류위조 등의 사고가 21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 힘 이영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의 지점에서 횡령과 사기 등의 금융사고가 발생했습니다.

KB국민은행 A지점 직원은 텔러시재금을 부당 반출하고, 부족한 현금과 달리 시재를 정상적으로 마감하는 방법으로 460만 원을 횡령했습니다.

신한은행 B지점 직원은 모출납시재와 개인텔러시재 1천400만 원을 횡령하고, 이를 개인 카드대금 결제와 생활비를 충당하는데 쓰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와 함께 같은 은행 C지점 직원은 시재에 입금되지도 않은 금액을 입금한 것으로 처리해 504만 원을 횡령했습니다.

우리은행에서는 D지점의 직원이 가상화폐에 투자할 목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출납시재금 1억8천500만 원을 횡령했다 적발됐습니다.

하나은행에서는 위조 운전면허증을 소지한 고객에게 체크카드를 발급해 ATM기에서 3천600만 원이 출금되고, 대출 관련 서류를 위조한 고객이 타인의 명의로 대출을 신청해 1억2천만 원의 대출금이 지급되기도 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가장 많은 금융사고가 발생한 곳은 전북은행입니다.

G지점의 지점장은 지난 2014년 2월부터 2015년 7월까지 1년 5개월동안 타인명의의 대출임을 인지하고도 공모해 13개 차주에게 24차례, 모두 21억2천만 원의 대출을 진행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이영 의원은 "시재 횡령과 서류 위조뿐만 아니라 관리직인 지점장에 의한 대규모 불법 대출 사고까지 발생했다"며 "금융당국은 시중은행에 대한 철저한 통제장치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송복규 기자 / sbg18@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