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LG전자의 5G 전략폰 출시에 따라 이동통신 시장이 출렁이고 있습니다.
이통사의 보조금 경쟁이 과열되면서 고객을 뺏고 뺏기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인데요.
보도에 유재준 기자입니다.


【 기자 】
이동통신시장에 휴대폰 보조금 지급 경쟁이 한층 가열되고 있습니다.

유일했던 삼성전자의 갤럭시S10에 이어 LG전자의 V50씽큐가 5G폰으로 등장하면서 불법 보조금이 대량 유포됐습니다.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통사들은 5G 상용화에 따라 주도권 확보를 위한 차별화된 요금제와 특화된 콘텐츠로 가입자 유치에 주력하고 있는데,

특히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로서 보조금 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LG전자의 V50씽큐 출고가는 119만 9000원.

SK텔레콤의 경우 지난 10일부터 주말 사이 최대 100만원까지 불법보조금으로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번호이동 고객들은 특정 대리점이나 대형 유통점을 중심으로 지급된 불법보조금을 통해 제품 구입 당시 오히려 현금을 돌려받았다는 이야기마저 나오고 있는 상황.

앞서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지난해 통신시장에 교란을 일으키는 불법보조금 경쟁은 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통사 관계자는 "5G 초기 시장은 급변하기 때문에 방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본격적으로 고객을 유치해 점유율을 확대할 적기"라고 말했습니다.

상황이 이렇자 이통사들은 25% 요금할인의 선택약정 지원금보다 더 큰 공시지원금을 제공하며 경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KT는 지난 11일 갤럭시S10에 대한 공시지원금을 업계 최고 수준인 최대 78만원을 지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5G 무제한 요금제로 가입자 모집 경쟁에서 선두를 달리며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SK텔레콤이 보조금을 앞세워 추격하자 반격에 나선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난 11일 기준 5G 가입자는 40만명 돌파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SK텔레콤은 40%, KT 35%, LG유플러스 25%로 각각 가입자를 확보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불법보조금 관련 이동통신 3사에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 모니터링을 강화한다는 방침입니다.

매일경제TV 유재준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