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잇(it)슈]철도 관련주 점검
시시각각 변화하는 글로벌 마켓, 월가엔 지금 무슨일이?
간밤 핫한 이슈를 집중 분석, 관련 국내외 종목의 투자 전략까지 한방에 제시합니다!
<출연자 : 헤르메스스탁 하창완 본부장>
Q. 전일 철도 관련주 분위기는?
A.28일, 미·북 정상회담 논의 급물살임.
A.미·북 정상회담 재개…상한가 기록함.
A.전 거래일 철도·인프라 관련주 급등임.
A.철도·인프라 관련주 외 경협주 약세임.
A.'서울-신의주-중국' 철도 사업 검토중임.
A.남·북 고위급 회담, 철도 연결 등 경협 논의중임.
A.코레일, 남북철도 연결사업 준비중임.
A.코레일, 국제철도협력기구 정회원 추진함.
A.미·북 정상회담 영향, 부산산업 상한가 기록함.
A.대아티아이 23.5%·대호에이엘 10.18% 상승임.
A.현대로템 6.56% 상승…철도주 전반적 상승세임.
Q. 경협주, 대북사업 가시화·실질적 수혜는?
A.6월 1일 남·북 고위급 회담 재개함.
A.남·북 고위급 회담, 철도 사업 주요 의제임.
A.미·북 정상회담 정상 개최 시, 경협 본격화 전망됨.
A.롯데그룹·KT 등 대북 사업 준비 본격화됨.
A.KT, 남북협력사업개발 TF에 구현모 사장 임명함.
A.KT, 대북 사업 추진을 위한 전샂거 지원 표명함.
A.남북경협·정보통신기술 ICT 교류 지원 전망됨.
A.KT, 개성공단 유선전화 공급 사례 보유함.
A.보령메디앙스·제로투세븐, 의약품 납품 경험 보유함.
Q. 현대로템 신고가 기록…추가 상승 여부는?
A.현대로템, 동해선·경의선 철도 연결 기대감에 상승함.
A.현대로템, 전 거래일 최고가 달성함.
A.현대로템, 철도부문 국내 독점 수주 능력 보유함.
A.2016년부터 연간 4조 원 규모 수주 실적 유지함.
A.만기 3년 물 회사채 1,000억 원 발행 예정임.
A.조달자금, 9,000억 원 규모 회사채 차환 예정임.
A.현대로템 1분기 어닝쇼크 기록함.
A.4분기 매출 증가·영업익 흑자전환 예상됨.
A.터키·말레이시아 등 신흥국 철도 수주 상승임.
A.남북경협, 주가 최대 상승 요인 작용됨.
A.현대로템, 기술적 분석 접근 전략 유효함.
A.미·북 정상회담까지 급등락 반복 전망임.
A.남북 관계 개선에 따른 상승 지속 가능성 있음.
Q. 철도 대장주 대아티아이, 투자 매력도는?
A.대아티아이, 경협주 가운데 가장 민감한 움직임임.
A.대아티아이, 철도 신호제어 시스템 보유함.
A.대아티아이, 한 달 새 156% 급등임.
A.인도네시아 진출, 외형성장 기대감 유효함.
A.대아티아이 투자 매력도 확대 전망됨.
Q. 푸른기술 신고가 기록…투자 전략은?
A.푸른기술, 무인 자동화 관련 제품 개발·생산함.
A.푸른기술, 2거래일 연속 급등세임.
A.21억 원 규모 중국 게이트 도어 공급 계약 체결함.
A.중국 제남 1호선·복주 2호선·선양 10호선 계약임.
A.중국·인도·말레이시아 역무 자동화 제품 공급함.
A.자동화 관련 수출 33억 원, 2016년 대비 68.5% 상승함.
A.푸른기술, 남북경협 외 성장성 보유함.
A.단기적 이슈에 따른 변동성…리스크 관리 필요함.
A.특급 이슈 소멸 시 성장성 확인 후 접근 유효함.
Q. 부산산업, '경협 모멘텀' 언제까지 작용할까?
A.부산산업 '경협 모멘텀' 장기화 전망됨.
A.철도 콘크리트 침목 생산 업체 주요 계열사 보유함.
A.태명실업, 철도 침목 시장 점유율 75% 확보함.
A.티엠트랙시스템, 국내 고속철도 침목 90% 점유함.
A.계열사 작년 매출 810억 원…전체 매출의 70%임.
A.'레일·침목·레일체결장치·도상 자갈', 철도 구성됨.
A.콘크리트 침목, 레일 1km당 1,500여 개 필요함.
A.태명실업 주요 매출처 '현대건설'임.
A.북한 철도 현대화 진행 시 침목 수요 급증 전망됨.
Q. 경협 뛰어든 '황금예스티' 전망은?
A.황금예스티, 자회사 남북경협 수혜 기대감임.
A.황금예스티, 자회사 '유에스티·인터컨스텍' 보유함.
A.유에스티, 남·북 정상회담 이후 230% 이상 급등함.
A.인터컨스텍, 국내 고속도로·철도 교량 대부분 시공임.
A.인터컨스텍, 콘크리트 교량 누적 매출 1조 원임.
A.인터컨스텍, 원가 경쟁력 확보…경협 기대감 유효함.
Q. 남북 철도 연결, 철강 업종수혜 가능성은?
A.남북 철도 연결 시 철강 업종 수혜 전망임.
A.2016년 기준 북한 1인당 철강 소비량 60kg임.
A.철강 관련 전방 산업 투자 시 빠른 매출 증가 예상됨.
A.북한 최대 철강업체 '김책제철소' 취약점 다양함.
A.북한 대비 높은 기술력·인프라…국내 업체 경쟁력 있음.
A.북 인프라 건설, 철강재·구리 수요 급증 전망됨.
※ 출발 증권 시장은 매일 오전 6시에 방송됩니다.
국내외 경제 뉴스 및 투자전략 분석으로 여러분의 아침을 열어드립니다.
이 방송은 매일경제TV 홈페이지(http:www.mktv.co.kr) 및 케이블방송에서 생방송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방송 종료 후에는 인터넷 다시보기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