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잇(it)슈] 평창 동계올림픽과 북한…국제정치 영향

시시각각 변화하는 글로벌 마켓, 월가엔 지금 무슨일이?
간밤 핫한 이슈를 집중 분석, 관련 국내외 종목의 투자 전략까지 한방에 제시합니다!

<출연자 : 리서치앤리서치 배종찬 본부장>

Q. 평창 동계올림픽 가장 뜨거운 이슈는?

A.역대 최대 규모 겨울 스포츠 축제로 9일 개회식임.
A.김정은 위원장 동생 김여정이 방남함. 북한 최고 이슈임.
A.북한 공연단 큰 관심으로 개회식 전 '열병식'에 큰 반발이 일음.

Q. 펜스 미 부통령이 방한의 의미는?

A.펜스 미 부통령, 평창올림픽 참석으로 대북 초강경 대응임.
A.탈북자와 천안함 추모비 방문해 북한 잔학성을 강조함.
A.방한 전 아베 총리와 대북 압박을 천명함.

Q. 미국이 북한에 대한 압박 강도를 낮추지 않는 까닭은?

A.미국 내 보수 여론을 의식해 북한을 돌파구로 활용함.
A.한·중 상대로 주도권 갖기 위한 ‘북한 때리기’임.
A.북 핵·미사일을 미국 본토에 실질적 위협으로 인식함.

Q. 이방카 트럼프의 올림픽 참석 의미는?

A.이방카, 트럼프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알려짐.
A.일·중과 외교적 친분 관계가 입증된 바 있음.
A.평창 동계올림픽에 참가하면 한미 동맹 강화 효과가 나타남.

Q. ‘한미 동맹’ 더 견고해질 것이라는 전망 배경은?

A.주한 미 대사대리, "코리아 패싱 없다"라고 발언함.
A.북·미 회담 성사 시 한반도 긴장국면 해소 효과가 나타남.
A.미·일 대북 압박 공조…한국 주도권 위한 ‘힘 실어주기’임.

Q. 올림픽 이후 한반도 정세 전망과 우리 정부 대응은?

A.연기된 한·미 연합훈련 4월 시행 여부임.
A.올림픽 후 북한 태도 돌변 시, 지리적 리스크 급상승함.
A.트럼프, 대북 대응 태도…국제 정세의 최대 변수가 될 전망임.





※ 출발 증권 시장은 매일 오전 6시에 방송됩니다.
국내외 경제 뉴스 및 투자전략 분석으로 여러분의 아침을 열어드립니다.
이 방송은 매일경제TV 홈페이지(http:www.mktv.co.kr) 및 케이블방송에서 생방송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방송 종료 후에는 인터넷 다시보기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