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들썩이던 강남 집값 주춤…원인은?
·전국/강남4구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단위:전월대비,% / 자료:한국감정원)
강남4구 전국
2017년 9월 -0.12 0.04
11월 0.77 0.09
2018년 1월 3.45 0.15
A. 이익환수제, 작년 말 관리처분인가 신청 못한 곳
A. 주변보다 3천만 원 이상 가격 오른 재건축 단지
A. 관리처분인가 신청한 단지 철저한 심사 요청
Q. 부동산, 화폐가치 하락 방어 가능한 실물자산?
A. 물가 상승 시 화폐가치 하락
A. 통상적으로 부동산 가치는 물가 상승분 반영
Q. 미국 인플레이션 가속화 되면 영향은?
·해외 투자은행들의 2018년 미국 기준금리 인상 횟수 전망
(단위:기관 수 / 자료:한국은행)
1월 조사 2월 조사
2회 인상 4 1
3회 인상 8 9
4회 인상 4 6
A. 미국 인플레이션 기대↑…금리인상 전망 강해져
A. 한·미 기준금리 역전 가시화됐다는 분석
A. 역전 폭 커지면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
Q. 한국은행 기준금리 정상화 빠르게 추진될 가능성?
A. 한국의 경제성장률 2.9% 전망…예상치 웃돌아
A. 다수 전문가들 기준금리 연내 1차례 인상 전망
A. 수출 증가세…경제 하방위험은 제한적일 것
Q. 시중 금리 꿈틀대면 부동산 시장 영향은?
A. 최근 달아오른 부동산 투자심리 당분간 진정
A. 일부 은행 주택담보대출 최고금리 5% 돌파
A. 2~3년 전 대출받은 투자자들 금리 상승 부담
A. 금리 임계점 넘으면 부동산 시장 하락
A. 심리적으로 관망세 보이는 수준 일 것
Q. 물가상승률 높아지면 집값 영향은?
A. 지난 달 소비자물가 상승률 비교적 낮은 수준
A. 상승 폭 크고 장기화 되면 집값 상승 견인
Q. 국내 부동산, 인플레vs금리…압력 큰 쪽은?
A. 국내 상황 급격한 인플레 나타날 가능성↓
A. 미국 금리인상 조짐과 정부의 부동산 대출규제
A. 현재 시중금리 상승 중…추가적인 상승 예상
A. 현 상황에서는 인플레보다 ‘금리상승’ 압력↑
Q. 현 상황에서 부동산 투자 전략은?
A. 가격안정과 투기근절을 위한 규제 일변도 정책
A. 2분기 시장상황 지켜본 후 투자 결정 바람직
A. 자금 규모에 맞춰 지역 선택은 금물
A. 서울/수도권일부 등 큰 하락 없을 지역으로 선택
서울디지털대학교 부동산학과 김준환 교수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