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인천도시공사가 분양하는 아파트의 중도금 대출 한도를 애초 분양 모집때와 다르게 슬그머니 축소했습니다.
대출기관을 선정하지 못했기 때문인데요.
분양률을 높이기 위해 중도금 대출 조건을 파격적으로 제시하며 계약자를 끌어들였는데, 책임은 지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백가혜 기자입니다.
【 기자 】
인천도시공사와
대우건설,
GS건설이 인천 영종하늘도시에 공공분양한 아파트.
분양당시 분양가의 60% 한도에 해당하는 은행권 중도금 대출 알선을 약속했습니다.
또 입주 전까지 중도금 이자 부담은 시행사가 대신 지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당초 4월에 집행하기로 했던 중도금 대출이 6개월여간 지연되면서 결국 대출기관은 1금융권이 아닌 2금융권으로 넘어갔습니다.
중도금 대출 한도도 기존의 60%에서 40%로 축소됐습니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로 인해 금융기관 선정이 지연됐고, 이에 중도금 대출 한도가 변경됐다는 설명.
하지만 대출기관 선정이 어려운 것은 정부 정책보다도 낮은 사업성 때문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계약자들은 당황스럽다는 입장입니다.
특히 자금 여력이 부족한 실수요자의 경우 전체 분양가의 60%가 중도금 대출로 이뤄질 것으로 믿고 계약했지만, 입주 잔금을 치르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타난 것입니다.
내년부터 대출 규제가 강화되는 점도 부담을 가중시킵니다.
반대로 시행사들은 애초 분양공고 당시와 달리 이자 부담이 낮아지게돼 오히려 이득이라는 지적.
이에 대해 인천도시공사 측은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 인터뷰(☎) : 인천도시공사 관계자
- "수분양자들의 대출 부담이 늘어나는 것은 없고요."
분양률을 높이기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 '무이자 중도금 대출'을 내걸고, 슬쩍 발을 빼는 셈.
전문가들은 분양 공고가 이뤄진 후에 자금 계획을 변경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계약자들의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 인터뷰 : 안명숙 /
우리은행 부동산투자지원센터 부장
- "소득규제라든지 기존 신용대출이 있는 경우 한도가 좀 줄어들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집을 계약하기 전에 그런 경우도 미리 내가 어느정도 대출이 가능한지에 대해서 사전에 꼭 체크한 후에…"
시행사를 믿고 계약한 실수요자들의 자금 조달 계획에 차질이 생길 경우 자칫 입주 대란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매일경제TV 백가혜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