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채용비리의 책임을 지고 사퇴하면서 금융권 수장들에 대한 교체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결국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반복되는 물갈이 인사가 어김없이 재연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김용갑 기자입니다.
【 기자 】
시작은 지난달 17일 국정감사에서 공개된
우리은행의 채용비리 관련 내부 문건이었습니다.
우리은행이 국정원 직원이나 VIP고객 등 특정인의 인사 청탁을 받고 신입사원을 채용했다는 내부 문건이 공개된 것입니다.
이에 이광구 행장은 책임을 지겠다며 지난 2일 사임 의사를 밝혔습니다.
하루 뒤인 3일에는 경찰이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의 연임 찬반을 묻는 노조의 설문조사에 사측이 개입했다며
KB금융 사무실을 압수수색 했고, 검찰은 특혜 채용과 관련해 김용환 농협금융 회장의 사무실을 압수수색 하기도 했습니다.
금융권에서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이전 정부 때 임명된 금융권 수장에 대한 물갈이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
실제로
우리은행의 새 행장을 뽑는 임원추천위원회에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가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치면서 이런 주장은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공기업인 예보는 현재도
우리은행의 지분 18%를 보유한 대주주입니다.
하지만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해 예보가 보유한 지분 일부를 매각하면서 자율경영에 힘을 보탰지만, 이번에는 행장 선임에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을 보이면서 결국 정부의 입김이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 것입니다.
이에 대해 예보 관계자는 "
우리은행의 주주로서 임원추천위원회에 참여 의사를 밝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외풍에 시달려오던 은행권 인사도 이제는 그만 바뀔 때가 됐다고 생각했는데 너무도 답답하다" 말했습니다.
사정당국의 금융권 정조준에 대해 구태가 반복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김용갑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