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얼마전 채용비리로 말썽을 일으켰던 농협. 이번엔 납품비리 논란에 휩싸이면서 파문이 일고 있는데요.
특히 국민 식탁에 필수적인 계란의 유통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는데, 농협중앙회 측은 개별 사안으로 치부하며 어물쩍 넘어가는 모습입니다.
백가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지난 8월 전국을 휩쓸었던 살충제 계란 파동.
소비자들은 먹거리 안전에 대한 불안감으로 큰 고통을 겪었고, 그 어느 때보다 경각심이 고조됐습니다.
그런데 국민 먹거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농협 측의 대응이 영 신통치가 않습니다.
농협중앙회는 계란을 납품하는 과정에서 직원이 뇌물을 받은 대가로 불법계약을 맺는 비리가 발생했지만, 안이한 대처로 또 다시 질타를 받고 있습니다.
황주홍 국민의당 의원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지난해 농협중앙회 안심축산사업부 직원 A모씨는 경북의 D농장주로부터 5천여 만원의 뇌물을 받았고, 또 다른 직원 B모씨는 무려 2억6천만 원을 뇌물로 받아 납품 비리로 구속됐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서 끝이 아니었습니다.
비리로 적발된 농장주가 계약을 해지당한 후에도 농협 직원들의 약점을 이용해 거래를 요구했고, 농협 측이 재계약을 해준 겁니다.
즉 농협은 '불법을 저지른 납품업체와는 재계약을 할 수 없다'는 내부규정을 어긴 것입니다.
▶ 인터뷰(☎) : 황주홍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의원
- "국민들의 먹거리 안전을 가장 신경써야 할 농협 직원들의 도덕 불감증이 위험 수위에 있습니다. 농협중앙회 축산경제 등 관련 부서에 대한 감사를 통해 철저한 진상규명과 형사처분 등 재발 방지책이 시급합니다."
이에 대해 농협중앙회측은 "직원의 개인적인 일탈로 농장주는 피해자였다"면서 "이미 조정과 상호합의를 거쳐 거래를 재개하는 것으로 결론이 난 사안"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황 의원 측은 "여러 사람들이 연루되어 있어 자칫 파장이 커질 것을 우려한 꼼수 조치에 불과하다"며 "도덕 불감증이 도를 넘어선 소비자 기만행위"라고 반박했습니다.
결국 사안의 진실성은 차치하고라도 고질적인 제식구 감싸기 행태가 여전한 것입니다.
이처럼 납품 과정에 대한 관리부실은 농협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을 더욱 부채질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 인터뷰 : 강정화 / 한국소비자연맹 회장
- "농협은 특히 생산자 단체로서의 사회적 책임이 있는 거니까 내부에서 통제를 제대로 해야 하죠. 그런 이슈에 대해서 문제가 터지면 결국 소비자들이 농협 전체에 대한 신뢰를 잃을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
잇따른 비리에 대한 부실 대응으로 질타를 받고 있는 농협중앙회.
서둘러 입막음을 하려는 사이에 국민의 식탁은 갈수록 멍들어가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백가혜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