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찬바람…증시에 호재?
Q. 가계부채 대책 발표 이후 시장 상황은?
A. 이번 대책, 시장에서 예상한 수준
A. 수요 불확실한 지역, 건설 지연이나 취소
·신DTI 와
DSR
구분 신DTI (총부채상환비율)
DSR (총체적 상환능력 비율)
산정방식 (모든 주담대 원리금상환액 (모든 대출 원리금상환액)
+ 기타대출 이자상환액) / 연간소득 / 연간소득
활용방식 대출심사 시 규제 비율로 활용 금융회사 여신관리 과정에서
다양한 활용방안 마련 예정
A. 수도권 내 주담대 보유자, 추가대출 어려워
A. 내달 발표 예정인 ‘주거복지로드맵’ 관심
Q. 수요자 차별화와 지역별 양극화 심화되나?
A. 중도금대출 보증비율 90%→80% 축소
A. 중도금 대출 보증 한도 6억원→5억원
A. 미분양 또는 건설사 신용 낮을 시 대출거절
A. 건설사 간 양극화 심화
A. 대출 필요 없는 자산가들에게는 영향 없어
Q. 기준금리 인상되면 부동산시장 영향은?
A. 부동산 시장 호황, 저금리 영향 커
A. 대출 끼고 부동산 투자한 사람들 큰 부담
A. 금리인상+대출규제+입주물량 증가
Q. 부동산 투자에 막힌 자금, 증시로?
A. 부동산 자금 증시 흘러갈 가능성 적어
A. 부동산은 대부분 대출을 끼고 투자
A. 대출로 증시에 투자할 가능성은 낮아
A. 부동산 투자자들은 훨씬 투자에 ‘보수적’
Q. 부동산 대신 주식에 투자하는 사례?
A. 부동산 투자 대기자금을 주식에 묶어두기도
Q. 주택 구입 시 보수적 전략으로 접근?
A. ‘자기자본 비율’ 과거보다 높혀야
A. ‘똘똘한 한 채’ 로 줄이는 것도 방법
-----------------------------------------------------------
- 소비주의 반란? 포트를 바꿔라!
- 유창희 유스탁 대표
Q. 현재 증시, 고점 부담 구간인가?
A. 코스피·코스닥 고점 매물대 돌파 지연
A. 실적 기대 업종 주가 선반영
A. 일부 종목, 상승 탄력도 둔화 매물 출회
A. 주요 변곡점 새로운 투자 시각 필요?
Q. 내수·소비주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
·분기별 실질 국내총생산(GDP) 추이
(계열조정계열 전기대비, 단위:%, 출처:한국은행)
2016년 4분기 0.5
2017년 1분기 1.1
2분기 0.6
3분기 1.4
A. 3분기 경제성장률 29분기 만에 최고 기록
A. 수출·내수·투자 등 주요 부문 고른 성장세
A. 중국 사드 리스크 완화 기대감 증가
A. 소비·유통관련주 투자관심도 증가 기대
Q. 내수주 관련 투자 포인트는?
A. 중국 소비주 추가 상승 기대감 충족
A. 엔터·항공·여행주·단기 모멘텀 확대
A. 연말 소비심리 확대 시즌 진입 기대
A. 음식료·패션 업종 실적 개선 기대감 확대
A. 유통주, 실적개선 편차로 종목 선정 중요
유엔알컨설팅 박상언 대표by매일경제TV
유창희 유스탁 대표by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