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SPC의 직접고용 논란에 따른 시정명령이 이행될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SPC는 고용노
동부의 제빵기사 직접고용 시정 명령에 합작사를 만들어 채용하는 것을 추진 중인데, 쉽지만은 않아 보입니다.
정영석 기자입니다.
【 기자 】
어제(2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허영인 SPC 회장을 국정감사장으로 불러들이는 데 실패했습니다.
증인으로 신청했던 환노위 소속 이정미 의원은 SPC의 부당행위 등 지금까지 불거진 논란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문제 제기를 계속해 나가겠다는 입장입니다.
이 의원은 남은 종합 국감을 통해 고용노
동부에 SPC그룹 전체 근로감독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으로 SPC는 고용노
동부의 시정명령에 따라 내일(25일)까지 5천여 명의 제빵 기사에게 미지급 임금 110억 원을 지급해야 하고,
다음 달 9일까지 불법파견 형태로 인력 운영했던 제빵기사를 직접고용형태로 바꿔하는데 고용을 마무리하지 못할 경우 1인당 1천만 원의 과태료를 물어야 합니다.
이에 SPC는 본사와 협력사, 가맹점주들이 출자한 합작사를 만들겠다고 밝혔지만 쉽지만은 않아 보입니다.
합작사를 만들어 고용하도록 추진하는 것은 고용노
동부의 시정명령과 배치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입니다.
또 합작사를 통해 고용하는 방안은 제빵기사와의 협의가 전제돼야하는데 정작 제빵기사와의 협상은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SPC는 직접고용 시 과도한 비용 발생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충분히 직접 고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내년 기준 본사 소속 제빵기사 상여금이 내려가 본사가 직접고용을 해도 비용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
앞서 물류센터 직원 불법파견이 논란이 되자 소속 직원 470여 명은 바로 정규직 전환이 됐다고 이정미 의원실 관계자는 지적했습니다.
허영인 SPC회장이 증인 채택 무산으로 국감에 나서진 못했지만 당장에 직면한 난관을 어떻게 헤쳐나갈 지 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정영석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