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대규모 개발정책 보다는 친서민 주거복지?
A. 인위적 부동산 부양 아닌, 시장 안정에 무게
A. 후보들 간 부동산 공약 차별성 옅어

Q. 후보별 ‘공공임대주택’ 관련 공약, 차이점은?

·주요 대선 후보 부동산 공약
문재인 - 공적임대주택 매년 17만 가구 공급
- 4만 가구 신혼부부에 우선 공급

홍준표 - 청년·신혼부부 100만 가구 주거 지원
- 공공임대·전세자금·공공분양 등

안철수 - 공공임대주택 매년 15만 가구 공급
- 5만 가구 청년빈곤층에 우선 공급

·주요 대선 후보 부동산 공약
유승민 - 공공분양주택 50% 이상 1~2인 가구에 우선 공급
- 청년층 1~2인 가구 주택 15만 가구 공급

심상정 - ‘반값 임대주택’ 매년 15만 가구 공급
- 장기공공임대 주택 비율 12%로 확대

Q. 청년들을 위한 주택 공급 공약은?
A. 문재인, 셰어하우스 5만 가구 공급
A. 안철수, 청년희망 임대주택 매년 5만 호
A. 홍준표, 청년층에게 30만 가구 임대주택

Q. 부동산 규제 관련 공약이 많은데.. 내용은?
A. 전월세상한제, 홍후보 제외하고 도입 공감
A. 세입자 보호.. 임대차계약갱신청구권 도입 관심

Q. 후보 별 ‘가계부채’ 문제 해결 위한 공약은?
A. 홍후보 제외.. LTV·DTI 완화 의향 없어
A. 문·홍,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활용 언급

Q. 부동산 보유세에 관한 후보들의 입장은?
A. 문재인·안철수, 보유세 유보적 입장
A. 유승민·심상정, 보유세 인상 찬성

Q. 부동산 규제 일색의 공약, 우려의 목소리는?
A. 주택 수요와 거래가 줄어 부동산 경기 위축
A. 전월세상한제 등.. 재산권 침해 우려도

Q. 대선 이후 부동산 시장 영향은?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