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상승세에도 대선을 앞두고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오름폭이 둔화했습니다.

부동산114가 발표한 아파트 월간동향에 따르면 지난 4월 서울 매매가격은 전월대비 0.21% 상승했습니다. 전월 0.26%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오름폭이 0.05%포인트 감소한 셈입니다.

서울 매매가격은 재건축초과이익환수를 피할 수 있는 서울 강남권 재건축 단지가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면서 가격을 견인했습니다.

하지만 본격적인 대선을 앞두고 전체적으로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상승세는 이전보다 둔화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서울 자치구별 매매가격은 성동구(0.40%), 강동구(0.35%), 송파구(0.35%), 마포구(0.28%), 서초구(0.26%) 순으로 상승했습니다.

신도시에서는 0.02%, 경기·인천에선 0.04% 올랐습니다.

신도시 매매가격은 판교(0.13%), 위례(0.08%), 평촌(0.07%) 등은 상승한 반면 동탄(-0.04%), 중동(-0.03%)등은 하락했습니다.

경기·인천 매매가는 성남시(0.27%), 남양주시(0.14%), 과천시(0.13%), 구리시(0.13%), 파주시(0.11%) 순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양주시(-0.08%), 용인시(-0.04%), 김포시(-0.04%), 이천시(-0.02%) 순으로 약세입니다.

수도권 전세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이어갔습니다. 지난 4월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10% 상승했습니다.

도심 업무지구 주변으로 전세수요가 지속했고, 그동안 약세를 보였던 강동구는 재건축 이주를 앞두고 가격 회복 조짐을 보였습니다. 봄 이사 수요가 주춤하면서 양천구와 영등포구는 조정국면을 보였습니다.

김은선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연초 예상과 달리 올해 수도권 부동산시장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며 "지난 4월은 대선을 앞두고 관망세를 보였지만, 서울에선 강남권 재건축과 소형 도심역세권 아파트 선호도는 계속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대선이 끝나면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새정부에 대한 기대감에 상승세는 이어질 것"이라며 "선거 이슈였던 보유세 인상과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제 유예 등 정책 변수에 따라 이후 시장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