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P2P 금융 산업 전반 현황은?

·P2P 대출
- 공유경제의 한 흐름
- 자금이 필요한 수요자와
유휴자금이 있는 공급자를 연결

A. P2P업체는 플랫폼 이용료로 수익 창출

·P2P 누적 대출액 추이 (단위=억원)

2016년6월 1525
2016년9월 2918
2016년12월 4682
2017년3월 7344

(자료=한국P2P금융협회)

Q. 연체 등 투자 안전망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
A. 심사기술 고도화, 부실 대비 충당금 등 노력
A. 연체율, 부실률.. 협회 차원 정기적 공시
A. 제3자 예치금 관리 시스템 준비 중

Q. ‘P2P금융 가이드라인’ 실시.. 변화 내용은?

·P2P금융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
- P2P업체의 자기자본 대출 금지
- 개인투자자 투자한도 1,000만원 제한
- 예치금을 공신력 있는 제3자에 예치?신탁

Q. 기준 준수를 위한 P2P 업체들의 움직임?
A. 투자자 예치금 보호를 위한 시스템 마련
A. 개인투자 한도 제한.. 기관투자 유치 노력

Q. P2P금융 규제가 지나치다는 지적에 대해?
A. 투자금액 제한, 투자자 손실 보호 실익 부족
A. 불법행위 근절 및 위험 공시 강화 필요

Q. 핀테크 성장하는 중국, 상황은?
A. 중국 P2P 금융시장 약 200조원
A. 성장기에 규제 적어 핀테크 기업들 성장

Q. 이번 가이드라인에서 수정?보완할 부분은?
A. 핀테크 기업 글로벌 경쟁력 갖추도록 지원
A. 새로운 산업 진입 저해하는 규제는 제거

Q. P2P금융 이용하는 소비자가 살펴야 할 점?
A. 투자 상품이므로 원금 보장이 어려움에 유념
A. 다양한 P2P 투자 상품에 분산투자 필요
A. 투자자 알권리 위한 투명한 공시 업체 이용


한국P2P금융협회 이승행 회장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