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당초 정부는
현대상선을 지원해 한국을 세계 5위 해운 강국으로 육성하겠다는 공약을 내놓았는데요.
해운동맹 정식 가입에도 실패하고
한진해운의 알짜자산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현대상선의 미래가 불투명해진 모습입니다.
한국 해운업의 붕괴가 우려되는 만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김정우 기자입니다.
【 기자 】
현대상선은 글로벌 해운사의 필수 요소인 해운동맹 정식 가입에 실패하면서 미래가 불투명해졌습니다.
현재
현대상선은 해운동맹 2M과 '전략적 협력' 관계를 맺은 상황.
긴밀한 수준의 해운동맹은 선사끼리 비용과 수익까지 나누지만
현대상선은 선복 교환 등 낮은 수준의 협력만 하기로 한 상태입니다.
해운동맹 가입으로 재기의 발판을 마련하려 한
현대상선의 경영 정상화 계획에 차질이 생긴 것입니다.
당초 계획과 달리
한진해운의 선박과 노선을 제대로 인수하는 데도 실패했습니다.
한진해운의 미주노선은 SM그룹이 인수했고, 알짜자산인 롱비치 터널 역시 소수 지분만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진해운에 이어
현대상선까지 미래가 불투명해진 만큼 전문가들은 정부 차원에서 특단의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해운업은 수출국에 필수적인 전략산업인 만큼, 해운업 붕괴가 현실화될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칠 파장도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오정근 / 건국대 특임교수
- "(정부가)현재
한진해운에 대한 대책을 잘못 내놓으면서 우리 해운산업 자체가 반토막 나고 있는 상황인데
현대상선을 위해서 선박펀드 같은 것을 내놓고, 직접적으로는 힘들겠지만 롱비치터미널 인수나, 해운동맹을 가입을 우회적으로 지원 하는 그런 부분을 검토해서…"
아울러 전문가들은 국내 대량 화주들로 하여금 정기선사에 가능한 많은 화물 운송을 의뢰하게 하는 조치도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매일경제TV 김정우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