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오는 17일로 예정된 신규 면세점 사업자 선정, 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선정 중단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관세청은 예정대로 추진할 것임을 밝혔는데요.
과거 면세점 선정 과정에서도 '비선 실세' 최순실이 연루됐다는 의혹이 끊이질 않아 신규 사업자가 선정돼도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전망입니다.
장남식 기자입니다.


【 기자 】
오는 17일, 서울 시내 면세점 사업자 선정이 예정대로 이뤄진다면 5곳의 후보 기업 중 3곳이 면세점 특허권을 얻게 됩니다.

지난해 특허권 획득에 실패하며 20년 넘게 운영해왔던 잠실 월드타워점과 광장동 워커힐호텔 면세점의 문을 닫아야했던 SK와 롯데는 특히 면세점 특허권 재획득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앞서 시내면세점 추가 결정 당시, 오랜 기간 면세점을 운영해왔던 두 곳의 특허권 재획득이 유리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지만 최근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롯데와 SK가 '비선실세' 최순실씨가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미르·K스포츠재단에 자금을 출연한 것이 면세점 특허권과 연관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

롯데와 SK는 자금 출연과 면세점 특허권은 전혀 연관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정치권에서는 의혹이 해소될 때 까지 신규 면세점 선정을 중단해야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신세계와 HDC신라도 모기업이나 계열사가 미르나 K스포츠재단에 출연했고, 최순실씨 관련 의혹을 받은 화장품이 입점했다는 이유로 특혜 시비가 일고 있습니다.

'최순실 게이트'에서 자유로운 현대백화점이 가장 유리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지만 3곳이 선정되기 때문에 선정 후에도 논란이 일 것으로 보입니다.

논란이 되는 후보 업체들이 특허권을 획득 할 경우 탈락 업체들의 반발이 예상됩니다.

또 국회 국정조사나 특검으로 선정 이후에 부정이 적발되면 특허권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관세청은 특허권 선정 이후 부정이나 거짓이 드러나면 특허권을 취소할 수 있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조치에 대한 규정이 없는 상황.

결국 이번주 면세점 사업자가 선정되더라도 면세점 선정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매일경제TV 장남식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