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어제(6일)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청문회에서 전국경제인연합회를 해체해야 한다는 주장에 일부 재벌총수들이 동의했습니다.
전경련의 해체 위기가 찾아오면서 허창수 전경련 회장의 리더십이 도마위에 올랐습니다.
김용갑 기자입니다.
【 기자 】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진상규명을 위해 열린 청문회.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경련이 정경유착의 통로로 사용됐다는 비난을 받으면서 해체 주장이 이어졌고, 일부 재벌총수는 이에 동의했습니다.
▶ 인터뷰 : 하태경 / 새누리당 국회의원
- "빨리 답변해보세요 전경련 해체에 앞장 서겠어요 안 서겠어요. 삼성 전경련에 기부금 내는 거 중지하겠다고 약속하세요. 선언하세요. "
▶ 인터뷰 : 이재용 /
삼성전자 부회장
- "그러겠습니다."
국회의원들의 끈질긴 답변 요구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탈퇴를 선언했습니다.
▶ 인터뷰 : 이재용 /
삼성전자 부회장
- "저는 개인적으로 앞으로 전경련 활동 안 하겠습니다."
전경련은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이 기업들의 돈을 받아내는 과정에서 창구 역할을 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상황.
삼성 뿐만 아니라 SK와 LG도 전경련 탈퇴를 선언하면서 전경련은 사실상 해체 위기에 몰렸습니다.
청문회 도중 전경련 해체에 반대하는 분들은 손을 들어보라는 국회의원의 발언 이후, 발언권을 얻어 구본무 LG그룹 회장이 의견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 인터뷰 : 구본무 / LG그룹 회장
- "전경련은 헤리티지 재단처럼 재단으로 운영하고 각 기업간의 친목단체로 남아야 합니다. 그게 제 의견입니다."
하지만 전경련을 대변해야할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회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소극적인 태도만 보였습니다.
일각에서는 허 회장이 주요 회원사 총수들을 대상으로 사전에 전경련의 결속력을 다지는 노력이 필요하지 않았느냐는 지적도 나옵니다.
전경련은 오늘(7일) 이승철 부회장 주재로 긴급회의를 열고 쇄신안을 등을 논의했습니다.
매일경제TV 김용갑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