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장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섹터는 무엇일까?
증권사 리서치센터의 리포트를 심도 있게 분석한다.
<출연자 : 김윤서 KTB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연구원>
Q. 미 증시 연일 최고치 경신, 강세 배경은?
A. 트럼프 당선 이후, "위대한 미국" 재건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정부의 재정정책 및 감세정책이 예상되면서 성장률 개선 기대감이 시장에 반영되고 있는 모습이다. 최근 미국 경기지표의 연이은 호조도 미국 경기회복 기대를 뒷받침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시장 내 은행, 기계, 소재섹터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Q. 멈추지 않는 달러화 강세, 언제까지?
A. 미국 재정정책 기대감과 글로벌 통화정책 다이버젼스 확대 영향으로 단기적인 달러화 강세기조가 지속되는 것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Q. 달러 강세 지속, 국내증시 발목 잡나?
A. 현재 원/달러 상승기조는 원화 약세보다는 달러화의 일방적 강세 영향이라고 본다. 자금유출에 대한 우려도 잠재하지만, 수출개선 기대도 일부 반영될 수 있는 국면이다.
Q. 12월 미 기준금리 인상, 기정사실화 되나?
A. 미 연준이 12월에 금리인상을 단행하는 것은 기정사실화 됐다. 시장의 관심은 오히려 내년도 긴축속도 변화 여부에 쏠려있다. 트럼프의 정책이 가시화되기 전까지 불확실성 국면은 지속될 것으로 본다.
Q. 국내증시 부진한 흐름 지속, 이유는?
A. 우리시장 안에서 달러화 강세에 따른 환손실 우려가 팽배하다. 또한 미국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본다.
Q. 불확실성 증대, 국내증시 투자전략은?
A. 주식비중을 축소하고 현금비중을 확대할 것을 권한다. 환율효과에 따른 이익개선의 수혜를 입는 일부 수출기업들과, 낙폭과대 업종군 중 제약 바이오 업종, 방어적 성격의 통신업종을 선호한다.
Q. 남은 하반기, 국내증시 향방은?
A. 미 연준의 금리인상 이후 트럼프 취임 이전까지 시장의 방향성이 부재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국내증시에서는 높은 변동성 국면이 지속될 전망이다.
※ 증시 오늘과 내일은 매일 오후 1시에 방송됩니다.
국내외 경제 뉴스 및 투자전략 분석으로 여러분의 성공투자를 함께합니다.
이 방송은 매일경제TV 홈페이지(http:www.mktv.co.kr) 및
케이블방송에서 생방송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방송 종료 후에는 인터넷 다시보기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