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채권단의 자본확충이 결정됐지만 여전히 대우조선의 정상화는 요원합니다.
자금난이 일부 해결됐지만 추가 부실 우려가 남아 있습니다.
백가혜 기자입니다.


【 기자 】
대우조선해양이 자본확충의 선제작업으로 임시주주총회를 열었습니다.

완전자본잠식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채권단인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2조8천억 원 규모의 자본확충을 실시하기로 하면서 준비작업에 나선겁니다.

대우조선은 임시주총에서 주식 발행한도 확대 등 정관 일부 변경의 건과 자본금 감소 승인건을 의결했습니다.

이같은 절차를 거친 자본확충을 통해 대우조선은 완전자본잠식을 벗어나게 되고 부채비율 또한 개선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조선사 수주 환경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정상적인 수주 영업이 가능할지는 여전히 비관적인 상황입니다.

소난골 드릴십 인도 지연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가운데 국제소송까지 준비하고 있지만 승소하더라도 1조원 규모의 인도대금을 확보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게 업계의 시각입니다.

게다가 미주 시추업체 앳우드 오셔닉 또한 최근 대우조선 드릴십 2척에 대한 인도 연기를 요청하면서 상황은 더 악화됐습니다.

이 드릴십 2척에 대한 잔금은 4천700억 원에 달합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3분기에도 적자를 기록한 데다 4분기 흑자전환도 불투명하다"며 대우조선의 경영 정상화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는 오늘(25일)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대우조선의 자회사 2곳을 연내 매각하기로 했습니다.

▶ 인터뷰 : 유일호 /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정부는 구조조정의 부담을 미루거나 적당히 마무리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자 합니다. "

또한 수주절벽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안에 3개 군함 등 공공선박을 발주할 계획입니다.

대우조선의 자구노력과 병행해 정부와 채권단이 대응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추가 부실 우려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백가혜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