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이슈진단] 미국 실물·금융경제, 기록 세울까?
시시각각 변화하는 글로벌 마켓, 월가엔 지금 무슨일이?
간밤 핫한 이슈를 집중 분석, 관련 국내외 종목의 투자 전략까지 한방에 제시합니다!
<출연자 : 송수영 중앙대학교 재무금융학과 교수>
Q. 트럼프효과로 미국 실물?금융경제가 사상최고치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자세한 근거는?
A. 재정확대 정책의 긍정적인 면이 작동하면 가능하다. 그리고 보호무역으로 인하여 내수 시장의 확대는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금융경제의 팽창과 성장은 곧 거품으로 이어지게 된다. 문제는 미국의 역할이 해외에서 줄어들고 그 공간을 중국과 러시아가 파고 들어 그들의 영향력을 확대해 나갈 떄, 공화당이 그냥 두고 볼지 의문이다.
Q. 국채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있다. 주식을 대체할 수 있을까?
A. 국채의 금리가 상승하는 것은 틀림 없을 것으로 보인다.
Q. 원달러환율이 급등하고 있다. 달러강세가 지속되고있는데 트럼프 시대, 환율전쟁 재점화될까?
A. 달러의 강세가 이어지면 미국의 무역은 축소되고 그로인한 손실이 내수시장의 확대로 인한 혜택이 상쇄될 때 까지 진행될 것이다.. 그러나 결국 미국의 시장 참여자들에게 수입이 너무 매력적인 사업이 될 것이다. 환율전쟁을 굳이 하지 않아도 저절로 미국 달러의 강세는 미 정부와 국회의 개입이 없는 한 지속된다. 문제는 한국의 대응이 미국 의존도를 높이는 구걸에 가까운 방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아주 최악의 경제 운용이 될 것이다.
Q. 미국 경제의 성장이 최장 기간 이어질 가능성은?
A. 경제 정책에 있어서 트럼프는 조지부시 전임 대통령과 유사한 패턴을 밟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의 재정확대정책 중에서 부자감세와 사회기간망보수 사업 시행은 재정적자를 증가시키고 소득불균형을 악화시킨다. 그리고 12월에 연준이 금리인상을 단행하여 미국 주식시장의 상승이 가라앉으면 트럼프는 쉽게 금리인하를 요구할 것이다. 그러면 트럼프 재임중 경기침체가 반드시 올것이다. 부시정부시절 두번의 침체가 왔다. 트럼프가 오바바케어 를 제거하여 하층민들이 건강보험을 갖지 못하게 된다. 위 세가지 문제 소득불균형악화, 경기침제, 건강보험상실로 인하여 미 하층민들에게서 발생하는 역풍을 어찌 감당할지 여기서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 미국내 희생양 찾기 (히틀러의 유태인 희생양 만들기 처럼) Dodd Frank Act를 취소하면 금융산업의 과잉과 거품양산과 몰락을 감당하기 어렵게 될것이다.
※ 투자의 창 매일경제TV는 매일 오전 6시에 방송됩니다.
국내외 경제 뉴스 및 투자전략 분석으로 여러분의 아침을 열어드립니다.
이 방송은 매일경제TV 홈페이지(http:www.mktv.co.kr) 및
케이블방송에서 생방송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방송 종료 후에는 인터넷 다시보기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