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우리은행이 30%의 지분을 7개 과점주주에 매각하면서 6년 만에 민영화를 이뤘습니다.
민간 주도의 자율경영이 가능해진 건데요.
실질적인 자율경영이 이뤄질 수 있겠느냐는 의구심은 여전합니다.
백가혜 기자입니다.


【 기자 】
우리은행이 과점주주 매각이라는 새로운 매각 틀을 도입하면서, 정부 소유가 된지 16년 만에 민영화를 이뤘습니다.

이번 민영화의 주목적은 우리은행이 민간 주도의 자율경영을 하는데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30%에 달하는 지분을 민간 투자자들에 매각하고도 정부가 21.4%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남아 있어, 자율경영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동안 정부의 입김이 작용했던 기업 구조조정 등의 중대 현안을 해결할 때 민간 주도의 의사결정이 과연 이뤄질 수 있을지가 관심사입니다.

▶ 인터뷰 : 윤창현 / 공적자금관리위원장
- "50% 중에서 과반수를 팔았기 때문에 나머지에 대해서 '최소한의 역할만 한다' 이렇게 정해놓은 상태고… 자율경영은 확실하게 보장하니까요. "

공자위는 "정부는 비상임이사 1명을 추천하고 기업가치를 심각하게 훼손할 정도의 중대한 상황이 발생할 때만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인터뷰 : 임종룡 / 금융위원장
- "우리은행의 경영은 정부나 예보의 관여 없이 새로운 주주가 된 과점주주 중심으로 민간 주도의 자율적이고, 상업적이며, 투명한 경영을 해가게 될 것입니다."

예금보험공사와 우리은행간의 경영정상화이행약정도 매각 종결시 즉시 해제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과점주주로 낙찰된 7곳 중 5곳이 사외이사 추천권을 갖는데, 이들은 오는 12월 30일 임시주총에서 사외이사를 선임할 예정입니다.

각각 3천억 원 가량의 자금을 투입한 전략적 투자자들이 적극적인 의사결정 참여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만큼 과점주주에 폭넓은 권한을 부여하고 이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상황.

임기가 남은 현 사외이사의 경우 자연스럽게 퇴진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됩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관치금융을 탈피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보인만큼 정부의 경영 불개입 선언이 이번 우리은행의 민영화를 성공적으로 정착시켜 나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백가혜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