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오늘의 집중관찰 종목
SK C&C 인데요.
서환한 기자 모시고 최태원 최대주주와 정철길 대표이사에 대해서 분석해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 기자 】
네. 안녕하십니까?
【 앵커멘트 】
최태원 회장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해 주시죠.
【 기자 】
네. 최태원 최대주주는 1960년 12월 3일일 생입니다.
「 시카고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박사 통합과정을 수료했고요.
아버지인 최종현 고 회장에 이어서 SK 그룹을 이끌어 오고 있는 총수인데요.
2009년과 12년 매경이코노미 선정 올해의 CEO에도 올랐습니다.
」
하지만 636억 원의 회삿돈을 횡령하고도 최저 형량인 징역 4년을 구형받은 SK그룹 최태원 회장에게 엄격한 양형 기준을 적용하라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법정 처벌을 앞두고 있어서 굉장히 뒤숭숭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앵커멘트 】
네. 그렇다면 정철길 대표이사도 소개해 주시죠.
【 기자 】
최대주주는 최태원 회장이지만, 대표이사는 정철기 씨입니다.
1954년 10월 27일 부산광역시 출생입니다.
「 경남고와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학사를 거쳐 대한석유공사에 입사했습니다.
SK의 전신인 유공 종합기획부로 자리를 옮긴 뒤 SK그룹 구조조정추진본부 인력팀 팀장 겸 상무를 역임했습니다.
2008.01부터는
SK C&C 경영지원부문 부문장, 부사장에 올랐고요.
2011.01부터
SK C&C 대표이사 사장을 역임하고 있습니다.
」
2012 매경이코노미 선정 올해의 CEO에도 선정됐습니다.
【 앵커멘트 】
네. 그렇다면 일단 최태원 회장을 더 깊게 보기 전에
SK C&C의 주요 주주 상황들을 한 번 점검해볼까요?
【 기자 】
네. 사실상 최씨 가문에서 50%에 육박하는 주식을 소유하고 있다. 이렇게 정리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최태원 회장이 1900만주를 들고 있으면서 전체 주식의 38%를 소유하고 있는데요.
최태원 회장의 특수관계인이죠.
최 회장의 여동생인 최기원 행복나눔재단 이사장이 10.5%의 주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9%를 가지고 있는 자사주가 있습니다.
이 외에는 5%가 넘는 주요주주가 없는 상황인데요.」
최 씨 일가의 지분이 48.5%에 육박하고, 우호지분이 50% 넘는 안정적인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앵커멘트 】
네. 그렇다면 다시 최태원 회장으로 이야기를 돌려보죠. 아무래도 전체적인 SK그룹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해야 될 거 같은데요.
최근에는 새로운 경영 시스템을 밝혔죠?
【 기자 】
네. SK그룹이 내놓은 신 경영체제 ‘따로 또 같이 3.0'에 대해 일각에서는 정치권의 경제민주화 방안을 회피하고 최태원 회장의 결심공판을 앞두고 나온 ‘보여주기식’ 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따로 또 같이 3.0은 100% 관계사별 자율책임경영을 전제로 합니다.
관계사가 자사 이익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참여하는 위원회를 중심으로, 모두가 글로벌 성장을 추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제 SK그룹 관계사 CEO와 이사회는 의사결정을 보다 자유롭게 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게 됩니다.
그동안 그룹 역할을 해 온 지주회사와 경영에 대해 협의했지만, 앞으로는 이사회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것이죠.
SK그룹은 경제민주화의 핵심인 순환출자구조 개선과는 한 발 떨어져 있지만 재벌 총수에 의해 그룹 전체가 좌우되는 모습은 여느 재벌과 다를 게 없는 곳인데요.
다시 말해, 최 회장의 결심공판을 앞두고 오너 경영 구조를 개선하겠다는 모습을 미리 보여줌으로써 선고결과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내심 기대했다는 지적입니다.
실제로 SK그룹이 그동안 내세운 ‘따로 또 같이’1.0과 2.0 내용 모두 그룹 지배구조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때 새롭게 나왔던 계획인데요.
1.0 버전은 SK글로벌의 분식회계 사건이 나타난 이후 새로운 경영지표로 생겨 났습니다.
지주회사체제로 전환된 2.0버전도 지주회사인 SK(주)위에
SK C&C라는 계열사가 자리 잡고 있는데요.
최태원 회장은
SK C&C의 최대주주라는 것을 보면 SK의 경영실험 논의가 선제적 대응이기 보다는 그룹에 불어닥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입니다.
【 앵커멘트 】
회사 측 반응은 어떻습니까?
【 기자 】
SK C&C를 비롯해, SK그룹은 이에 대해 억울하다는 입장입니다.
SK그룹 관계자는 “지배구조 개선과 계열사 축소 등 최근 일련의 경영계획발표는 지속적으로 검토했던 것”이라며 “최 회장의 공판과 신년 경영계획을 발표하는 시점이 연말이다 보니 오해가 생긴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앵커멘트 】
하지만, 다른 회사들보다 확실히 오너 리스크가 많은 곳이죠?
【 기자 】
네. 10년 사이에 법정을 두번이나 드나든 총수는 최태원 회장 밖에 없는데요.
최 씨 일가는 직원을 몽둥이로 때리고 대당 몇십만원씩 보상해주겠다고 하는 등 각종 논란의 중심에 있었던 총수 일가입니다.
그렇다보니, 이들 오너로 인한 리스크나 회사 손실이 적지 않은데요.
한국적인 기업문화, 2세 오너가 가지는 한계를 잘 보여주는 곳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