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오늘 집중관찰은
제일모직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M머니 정영석 기자를 모시고,
제일모직의 최근 이슈를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 기자 】
안녕하세요?
【 앵커멘트 】
제일모직, 국내 의류 기업에서 단연 돋보이는 회사 중 하나인데요.
최근 어떤 이슈들이 있었습니까?
【 기자 】
네,
제일모직하면 연상되는 브랜드에 뭐가 있으세요?
아마 '빈폴'이 아닐까 싶습니다.
고급원단을 사용하고, AS까지 철저히 하는 등 중고가 브랜드인데요.
제일모직은 '빈폴'에 이을 새로운 브랜드를 올해 런칭했습니다.
바로 '에잇세컨즈'인데요.
국내 의류시장에 SPA 가 인기를 끌면서
제일모직도 여기에 동참하고 나선겁니다.
【 앵커멘트 】
SPA . 귀에는 익는데, 정확한 의미가 뭔가요?
【 기자 】
네, SPA는 미국 브랜드 GAP이 처음 선보인 사업 모델로 의류 기획과 디자인, 생산과 제조, 유통, 판매까지 전 과정을 제조회사가 맡는 의류 전문점을 말합니다.
백화점 등의 고비용 유통을 피해 대형 직영매장을 운영, 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싼 가격에 제품을 공급하고, 동시에 소비자의 요구를 정확하고 빠르게 캐치하여 상품에 반영시키는 점이 특징인데요.
고객수요와 시장상황에 따라 1~2주 만에 ‘다품종 대량공급’이 가능하다보니 패스트 패션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GAP이외에도 ZARA, H&M, 유니클로 등이 우리나라에 들어와있는 대표적 SPA 브랜드이고, 최근 우리나라 SPA시장이 커지면서 올해에 topten같은 영국계 SPA 도 런칭됐습니다.
【 앵커멘트 】
아 그렇군요, 에잇세컨즈, 올 봄에 런칭이 됐었는데, 실적은 어떤가요?
【 기자 】
아직 일년이 채 안됐기 때문에 속단하기는 힘들지만 일단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인지
제일모직 4분기 실적도 호조를 보이고 있고, 전망도 밝습니다.
【 앵커멘트 】
하지만, 한편으로는 너무 비싸다는 지적도 있던 것 같은데요.
【 기자 】
이것은 비단
제일모직뿐만 아니라 SPA 전반적인 내용입니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SPA가 전반적으로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겁니다.
SPA의 특징이 절차를 간소화해서 비용을 줄여 가격을 낮추는 것인데, 우리나라의 SPA는 같은 브랜드인데도 다른 국가보다 비싸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외국에서는 싸기 때문에 쉽게 입고 버릴 수 있는 옷들이라는 인식인데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이름만 SPA라는 것이죠.
그 때문에 한국소비자가 봉으로 본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에잇세컨즈도 비슷합니다.
처음 런칭했을 때부터 우리나라 브랜드인데도 불구하고 오히려 다른 SPA보다 조금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디자인이나 마케팅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며 인기를 얻고 있지만, 가격에서는 매력이 떨어지는 겁니다.
더이상 질 낮고 싼 SPA는 없다고 말하며 판매하고 있긴하지만, 글쎄요.
SPA의 장점이 없어 가격경쟁력이라는 특징이 없어 보입니다.
【 앵커멘트 】
자칫하면 한국 소비자를 우롱하는 것처럼 비춰질 수도 있겠네요.
다음 이슈로 넘어가겠습니다.
제일모직 의류기업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아니더군요?
【 기자 】
네,
제일모직하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먼저 떠오르는 것은 의류사업이지만, 실제 매출은 의류보다는 케미컬 분야가 더 큰 비중을 차지 합니다.
90년대 들어와서 케미컬 사업을 시작했고, 2000년대 들어와서는 전자재료 사업을 시작했는데요.
매출으로 비교해 봤을 때, 케미컬 사업부는 43% 정도 패션이 29% 전자재료가 26% 정도 차지하고 있습니다.
케미컬 사업부는 전기 전자와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업체에 합성수지, 인조대리석을 발생하여 판해하고 있으며, 점점 더 사업을 확대하는 양상입니다.
하지만 업계에서 주목하는 것은 전자재료 사업입니다.
전자재료 분야에서 최근에 밀고 있는 분야는 LED, OLED,
태양전지, flexible display 등이 있는데요.
특히, 지난해 하반기 실적 악화의‘주범’이었던 디스플레이 부문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편광 필름 사업의 경우 적자 폭이 급속히 줄고 있는 만큼 하반기에는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편광필름은 구체적으로 어떤것을 말하는거죠?
【 기자 】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노트북 컴퓨터와 모니터 등의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TFT-LCD)나 카메라 특수 효과용 필터, 입체 영화 안경 등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입니다.
계속 해서 말씀을 드리면 동시에 반도체 전공정 소재 부문 매출과 수익도 향상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제일 모직이 첨단 소재 산업의 비중이 높다는 것은 모르실 분들이 많은 것 같은데요.
그 비중이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패션분야보다 훨씬 높다는 것은 앞으로
제일모직의 성장 방향을 가늠케 하는 것 같습니다.
오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M머니 정영석기자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감사합니다
【 기자 】
감사합니다.
【 앵커멘트 】
지금 까지 집중관찰 이슈 분석이었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