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유예 연장…"완성차 기준, 한 자릿수 관세율 방어해야"

【 앵커멘트 】
미국의 상호관세 서한이 오늘(8일) 새벽 이재명 대통령 앞으로 발송됐죠.
정부는 대책회의를 열고 관세 협상 방향을 논의하고 있는데요.
수출 효자 종목으로 꼽히는 자동차 기업들의 업황에도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습니다.
김우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7일 한국을 포함한 14개국에 상호관세를 적시한 서한을 보냈습니다.

한국의 관세율은 기존에 예고했던 25%로 책정됐는데,

부과일은 당초 예고보다 3주가량 연기된 오는 8월 1일로 통보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 담긴 관세 계획은 향후 협상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우리 정부는 즉각 대응 마련에 나섰습니다.

대통령실은 오늘 오후 관계부처 대책 회의를 열고, 전방위적인 대미 협상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다만 지난 3일 이재명 대통령이 관세에 대해 "쌍방이 무엇을 원하는지 정리되지 않았다"라고 말한 것을 미루어 볼 때, 섣불리 원만한 합의를 예상하기는 어려운 상황.


25% 상호관세가 발효되면 수출 효자 업종으로 불리는 자동차 기업의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세가 반영되면, 미국 판매가 동결을 고수하던 현대차기아 역시 인상 압박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감안해 자동차만이라도 한 자릿수 관세율을 방어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 인터뷰(☎) : 김필수 /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 "자동차 관련된 쪽은 국가 기관 산업으로서 정부가 가장 초점을 맞춰야 되는 상황인데…선박·LPG 가스 등등 여러 가지를 동원하고 패키지 딜을 통해서, 완성차를 기준으로 한 자리 숫자 (8%나 9% 정도의) 관세로 협정을 맺는다고 그러면 대성공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비대면 채널까지 동원하는 '올코트 프레싱' 방식으로 대미 협상에 임하는 정부가 현실적인 관세율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김우연입니다.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