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은행권이 올해도 임금 인상률을 높이고 성과급 규모를 키웠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중 국민은행을 제외한 은행들은 모두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을 타결했다.


임금 인상률에 합의한 4개 은행은 일반직 기준으로 올해 임금이 2.8% 오를 예정이다.

지난해(2.0%)보다 0.8%포인트 높아졌다.

임금 인상률은 금융노조가 사측과 일괄적으로 협상하기 때문에 국민은행 임금 인상률도 2.8%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성과급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국민은행은 아직 노사 합의안이 없어 조정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국민은행 노조는 성과급으로 임금 300%와 1000만원을 요구하고 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올해 성과급으로 기본급의 280%를 주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기존에 제공하던 100만원 상당의 현금성 포인트를 50만포인트 늘렸고, 하나은행 역시 현금 지급액을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늘리면서 복지 포인트를 50만원 증액한다.

농협은행은 통상임금 200%에 현금 300만원으로 전년 조건을 그대로 유지했다.

우리은행은 작년 결산이 마무리되는 대로 성과급 규모를 결정할 예정이다.

또 올해는 복지 포인트 형식으로 300만원이 지급될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권 노조의 성과급 확대 요구 배경에는 지난해 은행들이 기록한 역대급 실적이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3분기까지 5대 은행의 누적 순익은 약 11조788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06% 불어났다.

높아진 예대금리차도 이자이익 증가에 기여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은행권 신규 취급액 기준 예대금리차(1.41%포인트)는 2023년 8월 이후 최대 수준이다.


5대 은행에 따르면 2023년 5대 은행 직원의 근로소득은 평균 1억1265만원이었다.


[박나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