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시장 진출을 위한 제품 개발 필요” 삼일PwC, ‘K-음료, Zero or More’ 보고서

건강·기능성 음료 선호 추세에 맞춰
인기 끄는 K푸드와 짝꿍으로 공략

국내 음료시장 규모 및 성장률 추이. <자료 = 삼일PwC>
국내 음료가 국외 시장에서 잘 팔리려면 월니스와 기능성 음료를 선호하는 추세에 맞게 제품군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K-음료가 K-푸드와 함께 해외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에 세계인의 입맛에 맞춘 신제품 개발이 이뤄지면 성공 가능성이 배가된다는 것이다.


삼일PwC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K-음료, Zero or More’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 음료 시장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국내 음료 업계에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발간됐다.

다만 여기서 음료류는 ‘음용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으로, 알코올이 포함된 주류는 포함되지 않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음료 제조업은 2023년 생산액 기준 전체 식품 제조업의 약 12.5% 비중을 차지한다.

음료류 시장 규모는 2018년 이후 5년간 연평균 5.5% 성장률로 꾸준히 커지고 있다.

2023년 11조 536억 원을 달성했다.


특히 팬데믹 이후에는 건강·기능성 음료 시장이 확대되고 배달이 증가하는 등 시장이 성장하며 2021년 전년 대비 성장률 11.6%를 기록한 후, 7%대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


보고서는 최근 국내 음료 산업의 트렌드를 ‘3無 3有’로 요약했다.

3무(無)는 제로 칼로리, 디카페인, 무알코올 주류를 의미한다.

3유(有)는 기능성 및 고급화, 채널 및 제품의 다양화·세분화, 친환경을 뜻한다.


눈에 띄는 국내시장의 변화로는 기능성 음료 시장의 두드러지는 성장세와 일부 커피 수요의 차(茶)로 이동 등이 언급됐다.

기능성 음료의 경우, 2020년 12월 일반식품기능성표시제 시행 이후 각종 기능성 원료를 포함한 릴랙스 드링크, 다이어트 음료, 단백질 음료 등이 대거 출시됐다.


일반식품기능성표시제란 일반 식품이 과학적 근거를 보유하거나 건강기능식품에 쓰는 29종의 기능성 원료를 사용했을 때 표시하는 제도다.


또한 카페인 섭취를 줄이려는 수요 및 여유와 힐링을 중시하는 기조가 확산하며 차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즉석음료(Ready-To-Drink, RTD) 형태의 홍차 제품, 우유와 조합된 제품, 주류에 섞어 마시는 제품 등 여러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정낙열 삼일PwC 소비재산업 리더(파트너)는 “국내 음료 시장이 웰니스와 기능성 중심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음식료 수출이 본격화되면서 음료 시장도 글로벌 트렌드 및 취향에 맞춘 상품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