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끝나자 소비자물가 줄인상
與 일각선 “물가 못 잡아 졌다”
불안한 중동정세에 기름값 들썩

지난 11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신선식품 매장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4·10 총선에서 여당이 참패한 것을 두고 밥상물가 동향이 표심에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 정치권에서 나오고 있다.

그간 정부 눈치를 보던 기업들까지 총선 이후 줄인상에 나서면서 물가 오름세가 다시 가팔라진 가운데 중동발 리스크까지 더해질 수 있단 우려가 나온다.


17일 통계청의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로 전년 동기보다 3.1% 상승했다.

이는 2020년을 기준치(100)로 잡았을 때 지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 2.8%였으나, 2월 3.1%에 이어 두 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견인한 건 농축수산물이었다.

2021년 4월(13.2%) 이후 2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인 11.7% 상승률을 기록했다.

농산물이 전월(20.9%)에 이어 20.5% 오르며 두 달 연속 20%대를 기록했다.


사과의 경우 상승률이 88.2%였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지난 1980년 1월 이래 역대 최대 상승 폭이다.

배는 87.8% 오르며 1975년 1월 이후 역대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고, 날씨 등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신선식품지수도 19.5% 상승했다.


이미 밥상 물가가 천정부지로 올랐지만, 총선 이후 외식·식품·생필품 등 전방위적 가격 인상이 이뤄지는 실정이다.

여기에 최근 불거진 중동 정세 불안과 원화값 급락까지 더해지면 올해 하반기까지 물가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단 우려다.


정치권에서는 이같은 물가 동향이 이번 총선에 영향을 미친 것은 물론, 항후 윤석열 정부에 대한 유권자들의 평가를 결정짓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민의힘 안팎에서는 총선 이전 불거진 ‘대파 논란’이 여당의 패배 원인 중 하나였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지난 7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 여권 관계자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우리 당 안에 있지 않겠나”라면서도 “코로나19 때도 그렇고, 우크라이나 전쟁 때도 그렇고 늘 정부는 외부에서 물가 상승 요인을 찾는 데만 급급했다”며 “그러나 실제로 물가를 잡을 의지가 있었는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과값이 제일 비싸다는 얘기도 있고, 몇 해 전에는 또 서울 빵값이 세계에서 가장 비싸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늘 물가 문제가 민생, 표심의 중점에 있었다”며 “정부와 당이 그걸 간과한 건 아닌지 냉정하게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여기에 채 상병 사건이라든지, 황상무 전 시민사회수석의 회칼 발언이라든지. 이런 여러 요인이 한 대 맞물리다 보니 (총선 참패를 두고) ‘용산 책임론’이 자연스레 나오는 것”이라며 “서민들의 생계를 위해서도, 당과 대통령을 위해서도 물가는 꼭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반 소비자들은 물론, 정치권에서도 밥상 물가를 두고 고심하고 있지만, 골머리를 앓는 건 유통업계 또한 마찬가지다.

이란의 공습에 대한 이스라엘의 보복 등으로 중동 상황이 악화하면 국제유가가 상승, 수입물가 오름세로 이어질 공산이 큰 까닭이다.


한국은행이 수출입물가지수 통계를 발표한 지난 16일 유성욱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장은 3월 수입물가지수의 상승과 관련, “원·달러 환율이 하락했으나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광산품 등의 수입 가격이 올라 수입물가지수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