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금융·건설 위기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4월 위기설'을 두고 금융당국에서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신용평가사가 PF 부실 규모를 과도하게 산정하며 시장에서 위기가 실제보다 부풀려지고 있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은 시장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면서도 과도한 시장 불안을 야기하는 위기설을 경계하는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 12일 부동산 PF 세미나를 열고 저축은행과 캐피털, 증권사의 PF 대출 예상 손실액이 최대 13조8000억원에 달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업권별 최대 예상 손실액은 각각 저축은행 4조8000억원, 캐피털 5조원, 증권사 4조원 등이다.

이는 경매시장에서 감정평가액 대비 최종 낙찰가율 하위 25%를 기준으로 해 가장 보수적인 추정치로, 작년 세 업권의 순익 총합 5조7000억원보다 두 배 넘게 많다.


이 같은 분석을 두고 금융감독원은 부실 규모가 과대 측정됐다고 주장한다.

전체 PF 사업장이 경·공매를 통해 시장에 매물로 나왔을 때를 가정해 계산한 수치라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브리지론이나 토지담보대출 중에서는 당장 부실화돼 매물로 나오지 않고 정상화하거나 재구조화하면 되는 사업장도 상당하다"며 "본PF를 제외한 브리지론이나 토담대가 전부 경·공매 시장으로 나온다는 가정에서 발표된 숫자로 확인했는데, 너무 극단적인 가정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신용평가사의 커버리지(평가 대상) 금융사들이 제공한 한정된 정보로 전체 시장 상황을 평가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만 놓고 보면 커버리지 대상인 16개 은행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했는데, 이는 부동산 PF 익스포저(위험 노출액)가 있는 전체 저축은행의 30% 정도에 불과하다"며 "이를 전체 업권 상황으로 환산해 추정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고 평가했다.


[유준호 기자 / 박나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