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최근 아스파탐 유해성 논란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가운데, 제약사들이 일부 의약품에 첨가제로 함유된 아스파탐의 사용 여부를 두고 고심에 빠졌습니다.
특히 최악의 경우, 의약품의 임상을 다시 해야 할 수도 있어 기업들의 부담도 가중되고 있습니다.
길금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이달 발암가능 물질로의 지정을 검토 중인 '아스파탐'.

아스파탐이 최근 사회적으로 큰 논란을 불러 일으키면서 제약사들도 깊은 고민에 빠진 모습입니다.

보건당국이 한국인 아스파탐 섭취량이 실제 허용량보다 낮다는 설명을 내놓은 것과는 달리 소비자들의 반감이 커지며 대체제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 된 겁니다.

실제 아스파탐은 아이들이 자주 먹는 감기 시럽제나 츄정 등 물 없이 복용하는 의약품에서 쓴 맛을 가리기 위해 활용되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허가 완제의약품 중 첨가제로 아스파탐을 사용하는 약품은 약 680개.

아스파탐을 함유한 제품은 국내 전체 의약품 중 2% 가량으로 그 첨가량도 미량이지만, 기업들은 마냥 무시할 수도 없는 입장입니다.

기업들은 각자 대체제를 급히 찾아 나서거나 아스파탐을 첨가제에서 아예 빼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특히 대체제를 넣는 경우 일부는 임상을 다시 해야하는 최악의 상황도 올 수 있는만큼, 업계의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

한편, 오는 14일 WHO가 아스파탐의 발암가능 물질 여부를 확정할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식약처도 아스파탐 제외국 관리 동향 등을 확인하고, 위해성 검사를 추가로 검토한다는 입장입니다.

국내 보건당국 방침이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관계기관이 아스파탐에 대한 사용 권고를 내릴 경우, 추후 업계에 미칠 파장에 기업들은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길금희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