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오늘(7일) 청와대에서 화상으로 주재한 2021년 신년 인사회에서 "새해는 통합의 해"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정치권에서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사면론이 한창인 가운데 문 대통령이 신년 인사말에서 '통합'을 키워드로 꺼내 들었다는 점에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립니다.
다만 문 대통령의 이날 언급은 사면 등 정치권의 통합을 구체적으로 지칭한 것이 아닌, 전반적인 국정운영 방향에 있어 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옵니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코로나로 우리는 서로 연결돼 있음을 절감했다. 가장 어려운 이웃부터 먼저 돕자는 국민의 마음이 모여 다음 주부터 3차 지원금이 지급된다"며 "코로나 격차를 줄이는 노력도 속도를 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더욱 중요한 것은 마음의 통합"이라며 "우리가 코로나에 맞서 기울인 노력을 서로 존중해 주고 더 큰 발전의 계기로 삼을 때 우리 사회는 더욱 통합된 사회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동시에 "새해는 도약의 해"라며 "우리는 결코 2류도, 영원한 2등도 아니었다. K방역 등에서 다른 나라들이 부러워할 역량을 보여줘 세계 모범국가로 인정받았고 이제 선도국가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여건이 허용한다면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서도 마지막까지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우리는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희생과 헌신으로 희망을 지켜냈다"며 "2021년 우리는 우보천리, 소걸음으로 천 리를 가듯 끈질기고 꾸준하게 끝끝내 소중한 일상을 회복할 것이다. 선도국가를 향해 힘차게 함께 갑시다"라고 격려했습니다.
[ 권영하 인턴기자 / youngha@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