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뿌린 대로 거둔다!
Q. 올해도 제로금리 기조 이어질까?
A. 연준의 통화정책 목표 2%에서 평균 개념으로 변화
A. 금융위기 이후부터 미국 물가는 1% 중반대
A. 향후 물가는 2% 중반 정도까지 용인
Q. 경제 정상화 기대감…금리인상 가능성은?
A. 경제 정상화되면 미국 금리인상 2022년 말로 앞당겨질 것
Q. 경기 둔화 우려…4분기 성장률 전망은?
A. 2020년 한국 경제성장률 약 -1%로 예상
A.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내수 부문 타격
A. 2020년 연간 경제성장률 약 -1.3% 내외 전망
Q. 벌어지는 기준금리와의 스프레드…의미하는 바는?
A. 한국 국고3년과 기준금리 격차가 약 50bp 확대
A. 정책금리는 낮아졌지만 채권금리는 다소 높게 형성
Q.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 정점은 언제?
Q. 올해 물가 상승률 전망은?
A. 올해 소비자물가 1.1%로 전년대비 반등
A. 내년 1.5%로 완만하지만 꾸준히 상승 예상
Q. 유동성 증가로 M2 급증…왜?
A. M2는 본원통화와 예금 등으로 구성
A. 한국·미국 보조금 지급 등으로 M2 구성하는 예금 급증
A. 미래 대비 수요…예금이 머물러 있는 상태
A. 경기 정상화 시 M2 유동성이 물가상승 요인으로 작용
Q. 올해 통화정책 전망은?
A. 한국은행 2022년 상반기 기준금리 25bp 인상 예상
A. 올해 말까지 기준금리 동결 예상
A. 하반기부터는 내년 금리인상 경계가 채권시장에 반영
A. 3·5년 등 중단기 금리 상승 예상
하나금융투자 리서치센터 채권 이미선 애널리스트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