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됐지만 목표 대비 접종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미국은 연내 2천만 명을 목표로 지난달 14일 접종을 시작했지만 현지시간 30일 오전 9시 기준으로 8분의 1 수준인 259만 명이 백신을 맞는 데 그쳤습니다.
백신 배포도 1천400만 명으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인구 10만명 당 접종 인원은 49명으로, 미국보다 접종이 늦게 시작된 이스라엘(608명), 바레인(263명)에 크게 못 미칩니다.
영국도 10만 명당 60명으로 미국을 앞섭니다.
AP통신에 따르면 백신 접종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 준비가 필요했던 인력과 시설 등 인프라 부족이 지연 원인으로 꼽힙니다.
대규모 접종을 하려면 인력을 충원하고 초과근무수당 예산을 확보해야 합니다.
화이자 백신의 경우 영하 70도에서 보관할 수 있는 특수 용기가 필요합니다.
사람이 몰릴 경우를 대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할 수 있는 방역 시설이 갖춰져야 하고, 1명당 접종 후 15분간 부작용을 관찰하기 위한 별도 공간도 있어야 합니다.
이같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특화한 인프라의 추가 구축이 사전에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연방정부의 역할을 생산된 백신을 주의 거점지역에 배포하는 선까지로 규정하고, 나머지는 주정부가 책임지도록 한 것도 문제점으로 꼽힙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0일 트위터에 "연방정부는 백신을 주에 배포했다"며 "이제 접종하는 것은 주정부에 달려 있다"라는 글을 올리며 접종 지연을 주정부 책임으로 돌렸습니다.
인프라를 갖추기 위한 자금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워싱턴주 킹 카운티는 백신 접종을 위해 40명의 직원을 추가로 고용해야 하지만 자금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연방정부는 백신 개발에 100억 달러 이상 지출했지만 백신 배포와 접종과 관련한 예산은 거의 쓰지 않았습니다.
최근 통과된 예산에 주정부의 요구를 수용해 87억 달러의 관련 예산이 포함됐지만 이미 몇 개월 전에 집행됐어야 할 예산이라는 비판이 나옵니다.
백신 접종 거부감도 접종이 지연되는 이유 중 하나로 지목됩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는 11만 회분 백신 중 3만5천 회분만 접종이 이뤄졌는데, 의사, 간호사 등 대상자가 접종을 거부하고 있다고 AP통신은 전했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