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둔감한 임원, 짐 싸라”...GS그룹 임원 제1자격 요건은 ‘AI기술’

허태수 회장, 사장단 150명 소집
AI 결합한 GS 미래전략 적극 주문

허태수 GS그룹 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이 “기술 변화에 둔감하다면 임원 자격이 없다”며 “기술이 창출하는 새로운 세상을 이해하고 반드시 사업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17일 GS그룹에 따르면 허 회장은 전날(16일) 오후 주요 계열사 임원을 소집한 자리에서 “기술을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전략의 중심에 두고 실질적인 사업 전환 방안을 치열하게 고민해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허 회장은 피지컬 인공지능(AI), 양자컴퓨팅 등 신기술을 중심으로 한 사업 전환을 강조했다.

허 회장은 한국경제인협회가 출범한 ‘AI 혁신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맡고 있다.

그는 “모든 사업 현장에 축적된 지식과 데이터는 우리가 가진 가장 강력한 자산”이라며 “이 자산을 AI와 결합하고 계열사 간 협업 체계를 강화해 새로운 비즈니스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허 회장은 AI의 진화 방향도 직접 설명하며 “피지컬 AI는 우리 산업이 직면한 고민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양자컴퓨팅은 가까운 미래에 산업의 판을 바꿀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AI 기술로 디지털 서비스를 개발한 계열사 사례도 공유됐다.

허 회장은 GS그룹의 독자적인 AX(AI 전환) 플랫폼 ‘미소’를 언급하며 “임원들은 구성원들이 다양한 액션을 실행해 볼 수 있도록 중심을 잡아줘야 한다”고 말했다.


인수·합병(M&A)과 벤처투자에 대한 지시도 이어졌다.

허 회장은 “더 전략적이고 실행력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며 “미래 성장을 위한 유의미한 딜을 추진하고, 벤처 생태계와의 전략적 연계를 강화해 GS의 새로운 성장 기반을 마련해달라”고 주문했다.


이날 회의에는 허 회장을 비롯해 GS그룹 주요 계열사 사장단과 임원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각 계열사의 상반기 사업 성과를 살피고 △중국 기업의 비약적인 성장 △에너지 산업과 인구·사회구조 변화 △기술 패러다임 전환 등 글로벌 경영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그룹 차원의 전략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유·화학, 에너지, 유통, 건설 등 GS 주력 사업군이 부진한 상황에서 기술 투자와 실행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전해졌다.

GS그룹은 “하반기에도 기술 투자와 계열사 협업을 이어가며 빠르게 바뀌는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