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10억 초과하는 아파트
거래비중 23.9% → 12.1% 뚝
서울 집값상승률 3주째 둔화
마포·성수 상승세 대폭 축소
똘똘한 한채 선호는 더 심화
 |
매경DB |
6·27 대출 규제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눈에 띄게 꺾이고 있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최대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되면서 특히 고가 단지가 몰린 ‘한강벨트’ 지역 집값 상승세가 주춤하는 양상이다.
수도권 10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도 반 토막 났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둘째주(14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19% 오르며 24주 연속 상승했다.
하지만 상승폭은 3주 연속(0.43%→0.40%→0.29%→0.19%) 줄었다.
정부가 6·27 대출 규제를 발표한 이후 집값 상승률이 꾸준히 둔화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은 “일부 신축이나 역세권 단지에선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매수 관망세가 심화하면서 거래가 감소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폭은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올 들어 급등세를 보였던 강남구 집값 상승률이 이번주엔 0.15%를 기록한 것도 주목된다.
서울 평균 상승률보다 낮기 때문이다.
일례로 강남구 개포자이프레지던스 전용 78㎡(21층)는 규제 발표 전날인 지난달 26일 37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하지만 규제 발표 직후인 지난 4일엔 같은 평형(28층)이 1억원가량 떨어진 36억6000만원에 중개 거래됐다.
마찬가지로 서초구(0.48%→0.32%), 송파구(0.38%→0.36%), 용산구(0.37%→0.26%) 집값 상승률도 일주일 전에 비해 주춤했다.
지난 3월 강남3구와 용산구 모든 아파트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지정된 후 ‘풍선 효과’를 보였던 다른 한강벨트 자치구들의 상승률도 대폭 축소됐다.
성동구(0.70%→0.45%)와 마포구(0.60%→0.24%), 영등포구(0.45%→0.26%), 강동구(0.29%→0.22%)가 대표적이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22곳의 상승률이 축소됐다.
중구(0.16%→0.18%)와 도봉구(0.05%→0.06%)만 상승률이 소폭 오르는 수준이었다.
아울러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에 따르면 수도권의 10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은 반 토막 났다.
6·27 대출 규제 이전(1월 1일~6월 27일) 수도권 전체 아파트 거래 가운데 10억원 초과 단지 비중은 23.9% 수준이었다.
하지만 규제가 시행된 이후(6월 28일~7월 16일) 10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은 12.1%에 불과했다.
주담대 최대 한도가 6억원으로 묶이며 소득이 높아도 현금을 많이 갖고 있지 않으면 매수가 어렵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5억원 이하 저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규제 전 40.1%에서 규제 후 50.4%로 높아졌다.
대출 규제 이후 거래된 수도권 아파트 중 절반 이상은 규제 영향이 작은 저가 단지였다는 뜻이다.
거래량이 줄었지만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은 심화하는 형국이다.
집토스가 동일 단지·평형의 실거래가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규제 이후 서울의 10억원 초과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3.6% 올랐다.
반면 인천의 10억원 초과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오히려 6.1% 급락하며 지역별 편차를 보였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오히려 살 사람만 사는 시장이 만들어지며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며 “자금력이 있는 수요는 확실한 투자처로 몰리는 쏠림 현상이 극대화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