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책 효과 계속된다…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3주째 ‘축소’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둔화
경기도 주요 지역까지 영향

서울 0.19%·전국 0.02% 상승
전주 대비 매매가 상승폭 축소

전국 아파트 전세가는 소폭 확대

상승세 누그러진 ‘한강벨트’...경기도까지 영향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매경DB]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영향이 계속되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3주째 둔화하고 있다.


집값이 치솟던 강남 3구와 마포구, 용산구, 성동구 등 ‘한강 벨트’의 상승세가 계속 누그러지고, 과천시와 성남시 분당구 등 경기도 주요 지역 또한 영향을 받고 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둘째 주(7월1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9% 올라 직전 주(0.29%)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6월 다섯째 주(6월30일 기준) 이후 3주째 상승세가 축소되고 있다.


강남 3구가 포함된 동남권은 0.37%에서 0.26%로 상승폭이 낮아졌다.


강남구가 0.34%에서 0.15%로 둔화한 것을 비롯해 서초구(0.48%→0.32%), 송파구(0.38%→0.36%)도 둔화세를 이어갔고 강동구 역시 0.29%에서 0.22%로 가격 상승폭이 줄었다.


직전 주에도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0.70%를 기록한 성동구는 일주일 만에 0.45%로 줄었고 같은 기간 마포구도 0.60%에서 0.24%로 상승폭 둔화가 컸다.

용산구도 0.37%에서 0.26%로 상승세가 약화했다.


양천구(0.55%→0.29%), 영등포구(0.45%→0.26%)도 상승폭이 눈에 띄게 꺾였다.


상승폭 하락세에도 오히려 늘어난 지역은?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에서 상승폭이 커진 지역은 중구(0.16%→0.18%)와 도봉구(0.05%→0.06%) 2곳이었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시(0.39%)가 2주째 상승폭이 둔화하며 2주 전(0.98%) 대비 상승률이 절반 아래로 꺾였다.

성남시 분당구(0.40%)도 2주 전(1.17%)보다 상승폭이 크게 줄었다.


수도권 전체로는 0.11%에서 0.07%로 오름폭이 감소했다.

서울과 경기(0.03%)는 가격이 상승했고 인천(-0.03%)은 하락했다.


지방(-0.2%)은 전주(-0.3%) 대비 내림폭이 소폭 둔화하긴 했으나 59주째 하락을 이어갔다.

5대 광역시는 0.04%, 8개 도는 0.01% 각각 하락했고 세종시는 0.03% 올랐다.


전국 기준으로는 0.02% 상승해 전주(0.04%) 대비 상승폭은 축소됐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 상승폭은 확대
서울 시내 한 부동산에 전월세 매매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한주형 기자]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상승폭이 직전 주(0.01%) 대비 소폭 확대된 0.02%로 조사됐다.


서울은 지역·단지별 혼조세가 나타나는 가운데 정주 여건이 양호한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는 매물 부족을 보이면서 전셋값이 0.07% 올랐다.

다만 상승폭은 전주(0.08%) 대비 축소됐다.


수도권 전체 전세가격은 0.03% 올라 전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고 지방(-0.01%→0.00%)은 보합 전환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