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상승률 또 꺾였다…대출 규제에 강남권 오름세도 ‘뚝’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값 동향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사진출처=연합뉴스]
6.27 대출 규제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눈에 띄게 꺾이고 있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최대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되며 특히 고가 단지가 몰린 한강벨트 지역의 집값 상승세가 주춤하는 양상이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둘째주(14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19% 오르며 24주 연속 상승했다.

하지만 상승폭은 3주 연속(0.43%→0.40%→0.29%→0.19%) 줄었다.

정부가 6.27 대출 규제를 발표한 이후 집값 상승률이 꾸준히 둔화되고 있다.


올 들어 급등세를 보였던 강남구 집값 상승률이 이번주엔 0.15%를 기록한 것도 주목된다.

서울 평균 상승률보다 낮기 때문이다.

서초구(0.48%→0.32%), 송파구(0.38%→0.36%), 용산구(0.37%→0.26%) 집값 상승률도 일주일 전에 비해 주춤했다.


[사진출처=한국부동산원]
지난 3월 강남3구와 용산구 모든 아파트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지정된 후 ‘풍선효과’를 보였던 다른 한강벨트 자치구들의 상승률도 대폭 축소됐다.

성동구(0.70%→0.45%)와 마포구(0.60%→0.24%), 영등포구(0.45%→0.26%), 강동구(0.29%→0.22%)가 대표적이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22개 자치구의 상승률이 축소되기도 했다.

중구(0.16%→0.18%)와 도봉구(0.05%→0.06%)만 상승률이 소폭 오르는 수준이었다.

중랑구는 전주와 마찬가지로 0.03%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은 “일부 신축이나 역세권 단지에선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매수 관망세가 심화되면서 거래가 감소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폭은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서울 집값 상승률이 주춤하며 수도권(0.11%→0.07%)과 전국(0.04%→0.02%) 아파트값 상승세도 둔화 양상을 보였다.

지방 집값은 0.02% 하락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