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떨어질까 무섭다”…‘10억 초과’ 아파트 계약 취소 급증, ‘6억 대출 제한’ 여파

고가 아파트 밀집 강남·서초부터
‘영끌 성지’ 노·도·강 지역까지
집값 하락 공포감에 계약 포기 확산

대출 규제 이후 ‘고가 아파트 계약 취소‘ 비율 급증
서울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앞에 아파트 거래 금액이 붙어 있다.

[김호영기자]

‘6·27 대책’ 시행 이후 10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의 계약 취소 비율이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대책은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것을 골자다.

아파트 계약 이후 잔금 대출이 막힌 늘고 있단 방증으로 보인다.


17일 부동산중개업체 집토스가 지난달 27일까지 계약된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 해제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6·27 대책 발표 이후 신고된 해제 계약 중 10억 초과 아파트의 비율은 35.0%로, 이는 대책 이전(26.9%) 대비 8% 포인트 늘어난 수준이다.


대출 규제를 직접 받지 않는 기존 계약자들마저 향후 집값 하락에 대한 불안감으로 계약을 포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집토스 측은 분석했다.


계약 취소 아파트 금액대별 비율 [자료 = 집토스]
매수자들 심리적 부담감에 계약 포기하는 듯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강남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 뉴스1]
특히 이번 대책의 충격은 고가 아파트 시장에 집중됐다.

취소된 계약 중 5억원 이하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율은 대책 발표 이전 32.2%에서 25.1%로 줄어든 반면, 10억원 초과 아파트의 비율은 눈에 띄게 늘었다.


매수자들이 ‘상투를 잡았다’는 심리적 부담을 느껴 계약금 포기를 감수하는 것으로 보인다.

투자 금액이 큰 고가 아파트일수록 향후 가격 하락 시 손실 규모가 클 수 밖에 없다.


노·도·강까지 번지는 계약 취소 현상
노원구 일대 아파트 전경 [매경DB]
눈길을 끄는 것은 이같은 계약 취소 현상이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권은 물론, ‘영끌 성지’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에서도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서초구는 계약 취소 비율이 대책 이전 2.5%에서 이후 5.7%로 약 2.3배 늘었고, 강남구 역시 5.1%에서 6.5%로 비율이 커졌다.

자산가치 하락에 대한 우려가 계약 해제로 이어졌다.


같은 기간 ‘영끌 매수’가 많았던 노원구도 해제 계약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5.3%에서 7.3%로 크게 늘었다.

강북구와 도봉구 등도 동반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기 자본이 부족한 매수자들이 향후 집값 하락과 이자 부담에 대한 공포감으로 서둘러 계약을 취소한 것으로 보인다.


집토스 관계자는 “고가 아파트 매수자에게는 자산 방어 심리를, ‘영끌’ 매수자에게는 손실 최소화 심리를 자극하며 계약 취소라는 동일한 행동으로 이끌고 있다”고 진단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