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수도권의 고가 아파트 거래는 급감했지만, 서울을 중심으로 일부 노후 단지의 가격은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7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10억 원 초과 아파트의 거래 비중은 6·27 대책 시행 전(1월 1일~6월 27일) 23.9%에서 시행 후(6월 28일~7월 16일) 12.1%로 절반 가까이 줄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5억 원 이하 아파트의 거래 비중은 40.1%에서 50.4%로 증가했고, 5억 초과~10억 원 이하 거래도 소폭 상승하며 중저가 아파트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거래가 이뤄진 고가 아파트의 가격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수도권 기준 10억 원 초과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대책 시행 이후 2.8% 상승해, 5억 원 이하(0.9%)나 5억~10억 원 이하(0.9%)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서울에서는 고가 아파트가 3.6% 올라 전체 가격 상승을 주도했으며, 경기도는 0.5% 상승에 그쳤고 인천은 오히려 6.1% 하락했습니다.

서울 고가 아파트의 가격 상승은 노후 아파트가 이끌었습니다.

재건축 기대감에 따른 투자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30년 초과 노후 단지의 평균 매매가는 6·27 대책 이후 7.3% 급등해, 신축 단지(3.8%)보다 두 배 가까운 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