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전선 초전도케이블 상용화
구리선 대비 10배 송전 가능
한전 규정 아직 마련안돼
실제 전력망 확산은 요원
 |
제주 초전도센터에 설치된 초전도 케이블 모습. 한국전력공사 |
한국은 세계 최초로 전력망의 판도를 뒤엎을 만한 ‘초전도 전력케이블’ 상용화에 성공했다.
하지만 관련 지원 부족과 규제 미비로 확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이 차세대 전력망에 막대한 투자를 결정했듯이 이재명 정부도 초전도 케이블 같은 차세대 인프라 투자와 규제 혁신에 적극 나서 전력설비 산업을 제2의 ‘방산’으로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초전도 케이블은 기존 구리 케이블 대비 전력 손실이 거의 없고, 동일한 구경에서 훨씬 더 많은 전력을 송전할 수 있는 첨단 전력기기다.
기존 구리 케이블보다 송전 용량이 10배 이상이면서 전력 손실은 5% 미만에 불과해 차세대 전력 인프라로 주목을 받는다.
 |
LS전선이 개발한 초전도 케이블. LS전선 |
LS전선은 2019년 세계 최초로 경기 용인시 신갈~흥덕 에너지센터(변전소) 구간(약 1㎞)에 초전도 케이블을 실제 전력망에 적용해 상용 운전을 시작했다.
기존 구리선 대비 송전 손실을 20분의 1 수준으로 대폭 절감했다.
실제 전력 수요가 높은 도심지에서 상시 운전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세계 초전도 케이블 첫 상용화 사례로 평가받는다.
초전도 전력시스템은 이처럼 첫 상용화에 성공했지만 관련 규정 미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송전망을 구축하려면
한국전력공사에서 전기를 받아야 한다.
그러려면 한전 변전소에 케이블 접속을 해야 하는데, 이때 한전의 관련 규정에 따라 접속해야만 한다.
하지만 초전도 전력시스템은 일반화된 기자재가 아니다 보니 관련 규정이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조전욱 한국전기연구원 박사는 “초전도 기술이 나온 지도 오래됐고 우리나라는 2000년부터 공식적으로 개발해 전 세계 톱 수준이다.
전력회사가 한전 한 군데밖에 없는데, 한전이 신기술에 대한 수용성이 높았다면 빨리 확산될 수 있었을 거라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다행히 최근 한전 역시 초전도 전력망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는 분위기다.
LS전선·LS일렉트릭·
한국전력 3사는 2028년 완공을 목표로 경기 가평군에 조성 중인 초대형 데이터센터에 세계 최초로 초전도 전력망을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관련 규정이 정비된다면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
높은 가격과 기술 검증의 어려움도 걸림돌이다.
초전도 케이블은 일반 케이블에 비해 2배에서 많게는 10배가량 비싸다.
업계는 향후 초전도 전력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가파르게 늘 것으로 본다.
유럽에서 해저 초전도 케이블 사업을, 미국에서 초전도 가공선(공중에 설치되는 전선)을 각각 개발 중인데 LS전선이 현지 업계와 기술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제품군이 넓어져 수요가 확대되면 생산량이 늘고 원가도 떨어질 전망이다.
2035년까지 세계 전력산업 투자는 22조달러(약 3경350조원)를 달성할 전망이다.
올해 기준 국내 전력기기 생산은 45조4000억원, 수출은 162억달러(약 22조원)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문성철 전기산업진흥회 본부장은 “새 정부에서 전력망을 제2의 방산으로 키워나가려는 의지로 적극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며 “전력망 확충 계획을 정부에서 수립하더라도 결국 이를 주도하는 주체는 한전이기 때문에 한전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