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 연합뉴스 |
지난달 취업자가 넉 달째 20만명 안팎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909만1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8만3천명 늘어났습니다.
취업자 수는 지난해 12월 일자리 사업 일시 종료 등에 따라 5만2천명 감소했다가 지난 1월 13만5천명 늘었고 2월에도 13만6천명 증가했습니다.
3월과 4월에는 각각 19만3천명, 19만4천명 늘었고 5월에는 24만5천명 늘었습니다. 최근 4개월 연속 20만명 안팎의 증가세가 이어졌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는 8만3천명 줄었다. 5월(-6만7천명)보다 감소 폭을 키우며 12개월째 마이너스였습니다.
섬유·종이 등 내수 관련 제조업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정책 영향으로 자동차 제조업 고용도 위축된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습니다.
건설업 취업자 역시 건설경기 불황 등이 이어지면서 9만7천명 감소했습니다. 14개월째 내리막을 걷고 있습니다.
농림어업도 14만1천명 감소했습니다. 4월 한파와 6월 폭우 등 이상 기후로 인해 2015년 11월(-17만2천명) 이후 최대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1만6천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10만2천명) 등에서 증가했습니다.
부동산업은 5월엔 5천명 감소했으나 지난달엔 6천명 증가했습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거래가 회복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습니다.
내수 한파와 제조업 부진 여파로 청년층과 50대 고용도 위축됐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7만3천명 줄었고, 50대도 5만3천명 감소했습니다.
청년층 고용률은 1.0%p 하락한 45.6%를 기록했습니다. 14개월 연속 하락세입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청년 취업비중이 높은 숙박음식업, 제조업 감소가 주요한 고용률 하락의 원인으로 보여진다"며 "50대는 주로 취업하는 건설업, 농림어업, 도소매업 취업자 감소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60대 이상은 34만8천명 증가하며 전체적인 취업자 수 증가세를 이끌었다. 30대도 11만6천명 늘었습니다.
비임금근로자를 보면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2만1천명)은 9개월 연속 줄었습니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만5천명 줄었습니다. 무급가족종사자도 6만4천명 감소했습니다.
실업자는 82만5천명으로 작년보다 3만2천명 줄었다. 실업률은 2.8%로 0.1%p 내렸습니다.
[ 김용갑 기자 / gap@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