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기업들이 올해 상반기 매수자로 참여한 인수·합병(M&A) 건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0일 보도했다.
일본 기업들이 단행한 M&A는 금액 기준으로도 전년 동기 대비 3.6배 늘어난 2148억달러(약 295조원)로 집계돼 관련 통계가 있는 1980년 이후 최대였다.
일본 기업들이 전 세계 M&A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0%를 돌파하며 1990년 이래 34년 만에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최근 일본 기업들의 M&A가 활발해진 요인으로는 대기업들의 그룹 재편 움직임, 핵심 분야가 아닌 사업부 매각 등이 꼽힌다.
자본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그룹 재편과 함께 해외 시장에서 성장을 노리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M&A 확산을 주도한 것은 도요타자동차와 NTT 등 전통 대기업이다.
도요타는 약 4조7000억엔(약 44조2000억원) 규모로 계열사 도요타자동직기 지분을 공개매수(TOB)해 비상장화하기로 했다.
NTT도 약 2조엔(약 18조7000억원)을 들여 상장 자회사 NTT데이터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했다.
그동안 일본 증시에서는 상장 기업 수가 증가해왔으나 기업들의 신진대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았다.
상장 자회사를 그대로 두거나 지분을 맞교환하며 내부 거래를 유지하는 지배구조 관행이 지속돼왔다.
하지만 최근 행동주의 펀드를 중심으로 한 외부 투자자들이 지분 구조를 개선하고 경영자원을 효율화하라는 압력이 거세지며 변화가 빨라지고 있다.
예컨대 일본담배산업(JT)도 담배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의약품 사업을 시오노기제약에 매각하기로 했다.
그룹 내 비핵심 계열사나 자회사 등을 매각한 '카브아웃' 사례도 올해 상반기 약 270건으로 전년 대비 30%가량 늘었다.
2008년 이후 상반기 기준 17년 만에 최대치다.
[신윤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