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난카이 트로프’로 불리는 난카이 해곡과 대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거론되는 지역. [사진 출처 = 일본 NHK] |
일본에서 7월 대지진이 일어난다는 예언으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실제 지진이 발생하면 한반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홍태경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학과 교수는 최근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해 “만약에 난카이 해구에서 규모 8.0에 이르는 지진이 난다면, 한반도 남부는 난카이 해곡에서 가까운 곳은 500㎞ 안쪽에 있다”며 “그곳에서 큰 지진이 예상되고 규모가 크면 저주파 에너지가 많이 나오는데 우리나라 남해안이나 넓게 보면 한반도 전역이 1000㎞ 안쪽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어 “넓게 봐서는 한반도 전역의 고층 건물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며 “일본 난카이 해구에서 발생하는 지진이 남의 일만은 아닐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 우리나라는 일본만큼 내진설계가 반영된 건물이 많지 않아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고도 설명했다.
홍 교수는 “사실 우리는 큰 지진을 겪어본 경험이 별로 없다”며 “(건물이) 내진 성능을 갖추고 있긴 해도, 지진 테스트를 해본 적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난카이 해곡의 마지막 지진인 지난 1944년관 1946년때도 우리나라는 고층 건물이 없었다는 것이다.
 |
지진 잇따르는 일본 도카라 열도. [사진 출처 = 교도 연합뉴스] |
그는 “2024년 8월8일 발생했던 규모 7.1 지진이 우리나라 남해안에 고스란히 잘 기록 됐는데, 그때 당시 남해안 일대가 1㎝ 위아래로 움직였다”며 “규모 7.1 지진의 1000배 되는 규모 9.0의 지진이 발생하며 한반도는 30㎝ 넘게 흔들리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 6월 말부터 도카라 열도 인근에서 지진이 1000회 이상 발생하며 불안감이 증폭된 것과 관련해선, 과학적으로 많은 검증이 이뤄지지 않았는데 민간에서 이야기가 얘기가 전해지는 것 같다고 전했다.
그는 “6월 20일 이후 규모 4.0 이상의 지진만 한 60번이 났고, 반경 25㎞ 지점에서 규모 4 이상만 한 60번, 그 가운데 규모 5.0이 7차례 발생했다”며 “어제는 규모 5.6 지
진도 발생했다”고 전했다.
홍 교수는 “아무리 판의 경계부라고 하더라도 한 자리에서 이렇게 집중적으로 규모 4 이상의 지진이 짧은 시간 동안 많이 나는 경우는 굉장히 이례적”이라며 “보통 이런 일이 관측될 땐 규모 9.0이나 8.0에 이르는 큰 지진이 나고 나서 여진이 발생할 때 벌어진다”고 밝혔다.
즉 이런 지진들이 발생한다는 것은 이 자리에 많은 응력이 쌓여 있고 힘이 배출되지 못한 상태로 있다는 걸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