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보다 일자리 증가 부진”
 |
미국 일리노이주 한 소매점의 구인광고 [AP = 연합뉴스] |
미국 경제가 경기위축에도 견조한 고용상황을 유지하고 있지만 지표와 달리 실제로는 무너지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고용악화가 지속될 경우 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 시기와 횟수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올들어 5월까지 비농업 일자리가 월평균 12만 4000개 늘어나는데 그쳐 지난해 16만 8000개에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WSJ는 “관세 불확실성, 정부의 감원, 이민자 단속 등이 저출생 고령화와 함께 작용해 일자리 증가가 부진하다”고 설명했다.
5월 미국의 실업률은 4.2%로 전달과 같았다.
비농업 일자리는 전달보다 13만 9000명 증가했다.
시장 예상치인 12만 5000명보다 많았다.
하지만 전달(14만 7000개)보다 증가폭은 줄었다.
WSJ는 조사방법의 사각지대도 일자리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고용동향 조사시 고용주인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 외에도 피고용인인 일반 가구를 대상으로도 조사해 보완한다.
올들어 5월까지 고용주 대상 조사에선 일자리가 170만개 늘었지만, 가구 조사에선 100만개 증가에 그쳤다는 것이다.
또 매달 고용보고서 발표시 전달 수치를 정기적으로 수정하는데 올들어 4월까지 월평균 일자리 증가폭이 5만 5000개 하향 조정됐다고 지적한다.
사무엘 톰스 판테온 매크로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많은 고용주들이 제때 응답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신속히 응답하는 고용주는 대기업인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소규모 기업의 경우 뒤늦게 응답하면서 악화된 고용상황을 여실히 드러낸다는 것이다.
앞서 미국 고용정보업체 ADP도 6월 민간기업 고용이 전달보다 3만 3000명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3년 3월(-5만 3000명) 이후 2년 3개월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특히 다우존스 전망치가 10만명 증가로 예상했던 것과 달리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 셈이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정책 불확실성이 커지고 경기위축으로 소비심리도 급속히 악화하면서 민간 고용이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풀이된다.
고용상황은 연준의 금리결정에 핵심지표인 만큼 시장은 금리인하 시기와 횟수에 미칠 고용지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동안 연준은 고용이 견조한 모습을 보이는 만큼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영향을 고려해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때문에 당초 9월 인하를 시작으로 연내 두차례 인하가 유력했지만 고용상황 악화가 확인될 경우 인하 시기가 당겨지거나 횟수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연준은 이달 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트럼프 대통령 집권후 4차례 연속 동결로 현재 금리는 4.25~4.50%를 유지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