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마용성 상승률
전주 대비 소폭 줄었지만
재건축 호재 과천·분당
규제 타격 없는 강북권 올라
 |
서울 한강변 아파트 전경 [매경DB] |
고공 행진하던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 여파로 주춤하는 모습이다.
그간 급등세를 주도하던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한강벨트’ 지역의 집값 상승폭이 소폭 축소됐다.
다만 재건축 호재가 있거나 기존에도 6억원 이하 대출이 일반적이었던 지역의 상승세는 여전했다.
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6월 다섯째주(30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4% 오르며 22주 연속 상승했다.
정부가 6월 27일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최대한도를 6억원으로 묶는 초강력 대출 규제를 발표한 이후 처음 나온 시세 동향 조사다.
상승폭이 여전히 높지만 전주(0.43%)보단 소폭 줄었다.
당초 주담대가 6억원 이상 나왔던 서울 한강벨트 자치구들의 집값 상승폭도 일주일 전에 비해 축소됐다.
강남구(0.84%→0.73%), 서초구(0.77%→0.65%), 송파구(0.88%→0.75%), 용산구(0.74%→0.58%) 등이다.
지난주 역대 최고 상승률(0.99%)을 기록한 성동구 아파트값도 이번주엔 0.89% 오르는 수준이었다.
마포구(0.98%→0.85%), 광진구(0.59%→0.49%), 동작구(0.53%→0.39%), 강동구(0.74%→0.62%) 집값 상승률도 전주 대비 살짝 꺾인 건 마찬가지였다.
 |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출처=뉴스1] |
다만 재건축 추진에 대한 기대감이 큰 자치구들의 상승세는 여전했다.
여의도가 있는 영등포구 집값 상승률은 한 주 사이 0.48%에서 0.66%로, 양천구는 0.47%에서 0.60%로 각각 뛰었다.
3기 재건축이 한창인 과천 집값 상승률도 0.98%로 전주(0.47%) 대비 급등했다.
1기 신도시 2차 선도지구 선정 준비가 한창인 분당은 집값 상승률이 1.17%를 기록했다.
애초에 6억원 이하 대출이 많아 이번 규제 타격이 적은 자치구들 가운데 상승폭을 키운 곳도 눈에 띄었다.
노원구(0.12%→0.17%)와 도봉구(0.06%→0.08%), 금천구(0.06%→0.08%)가 대표적이다.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며 “그 가운데 선호지역 내 매수 문의가 감소하면서 서울 전체 상승폭은 소폭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