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이 지난 1일 경기도 용인 신한은행 블루캠퍼스에서 열린 '2025년 하반기 경영포럼'에서 진행된 인공지능(AI) 실습 미션을 참관하고 있다. 신한금융그룹 |
신한금융그룹이 1조원 규모의 서민 대상 대출 상품 금리를 낮추기로 했다.
은행 창립기념일이 있는 7월부터 총 9500억원에 달하는 서민대출 이자 부담을 줄여준다.
신한금융그룹은 고객이 절약할 수 있는 금융비용만 200억원 수준이라고 밝혔다.
2일 신한금융은 '헬프업&밸류업' 프로젝트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는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이 직접 지시해 '고객과의 상생'을 브랜드화한 이른바 '밸류업' 시리즈의 3탄 격으로 금리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다.
새롭게 시작하는 사업은 두 자릿수 이상인 금리를 한 자릿수(9.8%)로 일괄 인하해주는 것이다.
기간은 최대 1년이다.
또 7월 1일부터 연말까지는 서민신용대출인 '새희망홀씨'에 신규 가입할 때 금리를 산정된 것보다 1%포인트 인하해준다.
모두 은행에서 자동으로 처리해준다.
두 자릿수의 고율 이자를 부담하는 고객의 금리를 한 자릿수로 일괄 낮춰주는 것은 은행권에선 최초 시도다.
은행 고객 대부분은 신규 대출을 받을 때 대부분 한 자릿수 이자율을 부여받지만, 연체하거나 신용등급이 떨어져 대출 금리가 두 자릿수로 올라가는 경우가 꽤 있다는 점에서 착안했다.
지난달 말 기준 신한은행에서만 10% 이상 금리가 적용되는 가계대출 보유 고객은 4만2000명, 대출금액은 6500억원에 달한다.
제1금융권인 은행에서 '금융취약층'으로 분류되는 대표적인 사람들인 만큼 이자 등으로 지출하는 금융비용에 대한 부담도 가장 클 수밖에 없다.
또 연말까지 신규로 실행되는 모든 새희망홀씨대출의 경우 산출된 금리에서 일괄 1%포인트씩 금리를 낮춘다.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고객은 약 3만3000명, 대출금액은 3000억원 정도가 될 것으로 신한금융은 내다보고 있다.
새희망홀씨는 은행권의 대표적인 서민신용대출 상품이다.
'밸류업' 프로젝트는 고객의 자산 가치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 진옥동표 상생 브랜드다.
진 회장은 "신한금융의 계속된 상생금융 프로젝트는 일회성 지원이 아니라 고객의 미래 금융 여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함께 성장하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1탄은 작년 9월 실시된 '브링업&밸류업' 프로젝트다.
저축은행 대출 상품을 신한은행 대출로 갈아탈 수 있게 지원(대환대출)해 고객이 부담하는 금리를 낮춰주는 것이었다.
지난달 17일 기준 이 프로젝트를 통해 총 102억원 규모의 저축은행 대출이 은행으로 이동했고, 고객 574명이 평균 4.8%포인트의 이자를 절감했다.
아낀 이자비용은 10억원가량이고, 이들 고객 중 상당수는 신용등급 향상 효과도 본 것으로 알려졌다.
2탄은 지난달 시작한 '파인드업&밸류업' 프로젝트다.
휴면계좌 등 신한금융 내 잠들어 있는 고객 자산과 혜택을 돌려주는 것이었다.
고객 약 580만명이 대상이며 숨어 있던 자산을 찾아주기 위해 신한금융은 약 120억원의 비용을 지출할 예정이다.
한편 진 회장은 지난 1일 개최된 '2025년 하반기 경영포럼'에서 임원들에게 "인공지능(AI) 대전환을 주도하라"는 미션을 부여했다.
진 회장은 "리더는 기술을 이해하는 수준을 넘어 이를 능숙히 활용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그는 "자동차 경주에서 급격한 코너를 돌 때 순위 변동이 자주 일어나는 것처럼 현재의 AI 기술 전환기는 기업의 생존과 지속가능성을 좌우하는 중대한 시기"라며 "리더들이 기술 진화에 민첩하게 대응해 변화의 주체가 돼야 한다"고 전했다.
[박인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