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 E&S·인니 SKK미가스
국경통과 C
CS 공동연구 MOU
한국서 포집한 탄소, 인니 저장소에
운송∙저장사업 실현 가능성 연구
SK이노베이션 E&S가 한국에서 모은 탄소를 인도네시아 땅에 묻는 ‘국경통과 C
CS’ 연구에 나선다.
C
CS는 Carbon Capture and Storage의 약자로, 탄소 포집·저장을 일컫는다.
SK이노베이션 E&S는 지난 13일 서울 페어몬트앰배서더호텔에서 인도네시아 석유·가스사업 특별관리감독기관 SKK미가스(Migas)과 ‘한-인도네시아 국경통과 C
CS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MOU)’ 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SK이노베이션 E&S와 SKK미가스는 향후 한국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인도네시아로 운송·저장하는 국경통과 C
CS 사업의 실현 가능성을 함께 탐색하기로 했다.
두 회사는 기존 국경통과 C
CS 협정 사례를 분석하고, 유럽에서 선행된 사후 최종투자결정(FID) 이후 국경통과 C
CS 프로젝트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었던 요인을 조사할 예정이다.
국제법과 양국 C
CS 관련 규제를 검토해 한·인니 포괄적 C
CS 협정 체결을 위한 주요 과제도 살펴볼 계획이다.
양측은 실무그룹과 운영위원회를 구성해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향후 C
CS 프로젝트 협력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고갈된 유전이나 가스전, 대염수층에 주입 후 영구 저장하는 C
CS 기술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현실적인 수단 중 하나다.
한국의 경우 대규모 이산화탄소 저장에 적합한 지층이 부족해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다른 국가로 수출하는 국경통과 C
CS 프로젝트가 필요한 상황이다.
인도네시아는 대염수층 5730억t, 고갈 석유·가스전 50억t 등 동남아 최대 규모 탄소 저장 잠재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C
CS를 국가 주요 감축 수단으로 선정하고, 최근 관련 법·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루키 아궁 유스지안토로 SKK미가스 사무총장은 “국경통과 C
CS 관련 협력은 양국 모두에게 유익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라며 “인도네시아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C
CS 중심지가 돼 양국 간 실질적 협력이 더욱 강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일영
SK이노베이션 E&S 업스트림개발·운영실장은 “국경통과 C
CS는 국가와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필수적”이라며 “인도네시아와 C
CS 분야 전략적 협력 기반을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
서울 페어몬트앰배서더 호텔에서 열린 ‘한-인도네시아 국경통과 CCS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드위 아디 누그로호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MEMR) 비전통 석유∙가스 개발 부국장, 김일영 SK이노베이션 E&S 업스트림개발∙운영실장, 서성태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기술과장. <SK이노베이션 E&S> |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