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어디서든 초고속 통신 가능
자율주행 기능 고도화 가능
내년 1분기 양산 예정
조 단위 사업 육성 목표
 |
LG이노텍은 세계 최초로 5G 광대역 위성통신이 가능한 차량용 통신모듈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
LG이노텍은 세계 최초로 5G 광대역 위성통신이 가능한 차량용 통신모듈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3세대 5G 통신모듈’은 기존 협대역 위성통신만 지원하던 제품과 달리, 약 30MHz 폭의 광대역(NR-NTN)을 지원해 지상 기지국과의 연결이 단절된 상황에서도 인공위성을 통해 초고속·대용량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기존 제품은 약 0.2MHz 폭의 협대역(NB-NTN) 기반으로, 수백kbps 수준의 저속 데이터 전송만 가능했다.
때문에 고도화된 자율주행이나 고용량 통신기능 구현에 제약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 신제품은 수십mbps 수준의 속도를 제공하고, 데이터 전송 지연 시간도 수초에서 수백 밀리초로 크게 줄였다는 평가다.
LG이노텍은 2005년부터 축적한 차량 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이번 모듈을 개발했다.
신호간섭을 최소화한 RF 회로, 송수신 효율을 높인 안테나 설계, 차량 통신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을 집약해 완성도를 높였다.
또 이 모듈은 국제이동통신표준화 기구(3GPP)의 최신 5G 표준인 Release 17을 채택했다.
이는 기존 지상망 중심 5G 기술을 위성기반 비지상망까지 확장한 첫 국제표준으로, 다양한 국가와 차량 모델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LG이노텍은 ‘3세대 5G 통신모듈’을 통해 차량에서 언제 어디서든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대용량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어 운전자 안전성 제고와 자율주행 고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예를 들어 사막, 산악지대, 재난 현장처럼 통신 인프라가 미비한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해 사고 시 빠른 구조 요청이 가능하다.
해당 부품을 활용하면 자율주행 차량의 정확한 위치 송수신과 실시간 알고리즘 업데이트가 가능해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LG이노텍은 내년 1분기까지 해당 제품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고, 북미와 일본의 완성차 업체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마케팅을 진행 중이다.
유병국
LG이노텍 전장부품사업부 전무는 “차량 통신모듈은 차량 조명과 함께
LG이노텍 전장사업의 핵심”이라며 “차별적 고객가치를 창출하는 혁신 부품을 지속 선보이며, 차량 통신모듈 사업을 조 단위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LG이노텍에 따르면 5G 통신모듈을 탑재한 전 세계 차량은 2024년 400만대에서 2032년 7500만대로 증가해 연평균 성장률(CAGR)이 43%에 이를 전망이다.
이번 ‘3세대 5G 통신모듈’은
LG이노텍이 1세대, 2세대에 이어 세계 최초로 선보이는 세 번째 차량용 5G 통신모듈로, 디지털키 등과 함께 회사의 차량 통신모듈 기술력을 세계 시장에 다시 한 번 입증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